본문 바로가기

Weather Service

[Aviation Weather Service] Visibility

반응형

시정 (Visibility)

ⓐ 정의

- 주간에는 불빛이 없는 물체를, 야간에는 적절한 불빛이 있는 물체를 보고 식별할 수 있는 상태

- 시정의 종류로는 우시정, 악시정, RVV, RVR이 있음

 

ⓑ 시정의 종류

변화군
내용
우시정
(TWR 시정)
  • 기상 관측자나 관제탑 요원이 반쪽 수평선 이상에 걸쳐 볼 수 있는 최대거리
  • 미터 혹은 SM으로 보고되고 일상적인 METAR 혹은 TAF에 기록
악시정
  • ICAO 기준 (국제공항, 민간공항에 사용)
  • 관측 지점으로부터 가장 나쁜 방향의 시정치
수직시정
  • 강수 또는 시정장애로 인해 하늘이 차폐되어 구름 관측 불가 시
RVV
  • Runway Visibility Value
  • 보통 특정 활주로에 대해 투과율계(Transmissiometer)로 측정
  • 특정 활주로에서 최저치 결정을 위해 우시정을 대신하기도 함
RVR
  • Runway Visual Range
  • 움직이는 항공기 내의 조종사가 활주로를 내려다 보는 것에 기준을 둔 값 (2.5m AGL)
  • 투과율계로 측정되며, 수평가시거리임 (Slant Range X)
  • 투과율계 위치 : 활주로 중심선으로부터 120m 이내, TDZ RVR은 시단으로부터 300m / Mid-RVR은 시단 1,000 ~ 1,500m / Roll-out RVR은 반대편 시단으로부터 300m

ⓒ 시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현상

종류
내용
Fog
  • 시정 1,000m 미만, 상대습도 100%
  • 매우 작은 물방울/얼음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
Mist
  • 시정 1,000 ~ 5,000m, 상대습도 80% 이상
  • 미세한 물방울/젖은 흡습성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
Haze
  • 시정 5,000m 이하
  • 눈에 보이지 않는 지극히 미세하고 건조한 입자가 공기 중에 부유
Smoke
  • 시정 5,000m 이하
  • 연소에 의해 발생한 작은 입자
Precipitation
  • 액체/고체 형태의 물방울 입자가 대기 중에서 낙하하여 지표면에 도달하는 현상
  • Rain, Snow, Drizzle 등
  • Heavy snow는 시정을 거의 0으로 만듦
  • Drizzle은 보통 Rain보다 시정을 더 악화시키며, Drizzle이 Light rain으로 변화하면 수적의 크기가 커져 단위 체적 당 수적의 양이 감소하므로 시정 증가
Blowing Snow
  • 2m AGL 이상에서 바람에 의해 날리는 눈
  • 수평시정 7SM 이하
Dust Storm
  • 지면에서 솟아오른 먼지입자가 강한 바람(15kt 이상)에 의해 광범위한 지역에서 부유
  • 한낮의 지면 가열에 의해 발생한 Turbulent하고 Unstable한 공기에 의해 잘 발생
  • 보통 Dust storm의 높이는 3,000 ~ 6,000ft이나, 15,000ft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있음
  • 해가 지면 약 1,000ft/h의 속도로 가라앉음
Sand Storm
  • 지면에서 솟아오른 먼지입자가 강한 바람에 의해 국지적인 지역에서 부유
  • 보통 10ft까지 솟아오르나, 간혹 50ft까지 솟아오르는 경우도 있음
  • Dust보다 입자가 크고 무거워 솟아오르는 고도도 낮고 발생지역도 좁음
Volcanic Ash
  • 화산폭발에 의해 발생한 미세한 입자로, 대기 중에 장시간 부유
  • 화산재는 ATC Radar에서는 식별되지 않으나 Wx Radar에서는 식별 가능 (특히 화산폭발 초기에는 화산재가 더욱 밀집하여 더 식별이 잘됨)
  • 화산재가 Jet Engine 속으로 들어갈 경우, Compressor / Turbine Blade, Fuel Injector, Fuel Ignitor 등에 눌러 붙어 Engine Flame-out 발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