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erodynamics

(17)
[Aerodynamic] Compressor Stall Compressor Stall가. 정의 - Compressor Stall은 Gas Turbine Engine or Turbocharger Compressor의 공기 흐름이 중단되는 현상을 말함 나. 발생원인 - 일반적으로 공기는 제트 엔진을 통해 균일하게 흐르나, Air flow 흐름에 방해를 받게되면 Compressor Stall 발생 위험 증가 - Air flow distruption의 가장 흔한 원인은 foreign object damage(ex. Bird Strike), 마모되거나 더러운 Compressor component, In-flight icing, Design envelope 밖에서의 Operation, 그리고 잘못된 엔진 조작 등이 있음 - 엔진 안에서의 Air separation &..
[Aerodynamics] Altitudes Altitudes가. 고도의 정의 - 어떠한 기준(Reference)으로 작용하는 점이나 표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 아래와 같이 다섯 가지 종류가 있음 나. 고도의 종류종류의미Indicated Altitude (지시고도)고도계에 표시되는 고도 값True Altitude (진고도)고도계 기압창에 그 지역의 평균해수면 기압치를 맞췄을 때 지시되는 고도 (MSL)평균 해수면으로부터 항공기까지의 실제 높이전이고도 이하에서는 고도계가 진고도를 지시하도록 비행하고 있는 지역의 최신 기압치(QNH) SetAbsolute Altitude (절대고도)지표면 또는 장애물로부터 항공기까지의 실제 높이 (AGL)이륙 전 고도계가 '0'을 지시하도록 기압치를 맞춘 후 (QFE) 이륙했을 때의 고도레이더 고도계 또는 전파고도계로..
[Aerodynamics] Airspeeds Airspeedsⓐ IAS (Indicated Airspeed) - 속도계에 나타나는 속도 - IAS를 기준으로 항공기의 Performance (T/O & Landing Speed, Stall Speed 등) 결정 ⓑ CAS (Calibrated Airspeed) - IAS에서 Pitot tube의 장착오차와 속도계 자체 오차를 보정한 값 - 보통 저속에서는 IAS와 CAS의 차이가 크고 Cruising speed에 가까워질수록 차이는 작아짐ⓒ EAS (Equivalent Airspeed) - CAS에서 Pitot tube에 부딪히는 공기의 압축효과를 보정한 값 - Pitot tube 입구에 부딪히는 공기의 속도가 매우 빠르면 공기가 압축되고, 그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여 속도는 실제보다 크게 지시됨 - ..
[Aerodynamics] Climb Performance Climb Performance가. Ceiling  ⓐ 정의 - 항공기의 상승한계를 의미 - 항공기의 잉여마력(= 이용마력 - 필요마력)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므로 상승률도 감소함 -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밀도가 감소하면 양력과 추력이 감소하여 이용마력 또한 감소  ⓑ 종류 - Absolute Ceiling : 이용마력과 필요마력이 같아지는 고도, 상승률 0fpm - Service Ceiling : 상승률이 100fpm이 되는 고도 - Combat Ceiling : Operation Ceiling이라고도 불리며 상승률이 500fpm이 되는 고도 나. 상승비행의 종류  ⓐ Vx (Maximum Angle of Climb) - 단위 거리 당 고도 상승률이 가장 큰 Climb 방법 (잉여 Thrus..
[Aerodynamics] Weight에 따른 항공기 Performance 변화 항공기 Weight 증가 시 영향을 끼치는 요소비행단계영향요소Light AircraftHeavy AircraftTake-off더 낮은 이륙속도 필요더 짧은 이륙거리 필요Ground Effect 구간 밖으로의 상승이 쉬움높은 이륙속도 필요긴 이륙거리 필요Ground Effect 구간 밖으로의 상승이 어려움Climb상승구간 길이 감소상승시간 감소상승에 필요한 연료 소모량 감소상승구간 길이 증가상승시간 증가상승에 필요한 연료 소모량 증가CruiseWeight 감소로인한 Lift 감소 필요 → AOA 감소 → Induced Drag 감소 → 감소된 항력만큼 더 적은 Power 필요 → 연료소모 감소 → 순항거리 및 속도 증가Weight 증가로인한 추가 Lift 필요 → AOA 증가 → Induced Drag 증..
[Aerodynamics] Overbanking Tendency Overbanking Tendency가. 정의 및 발생원인 - 선회 중 Bank가 더 깊어지려고 하여 Bank각 유지를 위해 반대 방향으로 Aileron 조작이 필요한 상황 - 선회 중에는 같은 시간동안 안쪽 날개에 비해 바깥쪽 날개의 이동거리가 김 → 안쪽 날개에 비해 바깥쪽 날개의 속도가 크므로 바깥쪽 날개에 더 많은 양력이 생성되어 (양력공식에 의함) Bank가 더 깊어지려 하는 현상 나. 특징 - Turn Radius가 작을수록 양 날개의 속도차이가 커져 Overbanking tendency도 함께 커짐 (Bank Angle이 클수록, 속도가 낮을수록) - 바깥쪽 날개에서 양력을 더 많이 생성하는 만큼 항력도 더 많이 생성함 → Steep Turn 시 항력이 Slight slip을 유발하므로 적절..
[Aerodynamics] Adverse Yaw Adverse Yaw가. 정의 및 발생원인 - Bank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Yawing이 발생하는 현상 - 조종사가 Bank를 줄 때 Bank 방향의 Aileron은 위로 올라가고, 반대 방향의 Aileron은 아래로 내려감(Differential Aileron) - 아래로 내려간 Aileron의 Camber가 증가하여 양력 & 항력 동시 증가 - 양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항력(유도항력)이 함께 증가하여 Bank의 반대 방향으로 Yawing 발생 - Adverse Yaw 상쇄를 위해 Rudder 사용 필요나. 각 상황별 Adverse Yaw 작용 특성 - Adverse Yaw는 저속에서 더욱 뚜렷하게 발생 (속도가 낮을수록 Control effectiveness 감소로 인해 많은 양의 Control 필요)..
[Aerodynamics] Load Factor 가. 정의 및 의미 - 항공기 중량에 대비하여 항공기 날개에 걸리는 하중의 비율 - Load Factor가 클수록 항공기 구조에 Damage를 줄 수 있음 - Load Factor가 증가하면 Stall Speed 증가나. Load Factor in Turns - 선회 시 Total Lift component가 Vertical / Horizontal Lift Component로 나뉘어 Load Factor 증가 - 60˚ Bank시 2G 증가, 즉 항공기 무게의 2배를 견디고 있다는 뜻 - 60˚ Bank시 Stall Speed 40% 증가  다. Load Factor와 Stall Speed의 관계 - Va 이하에서 높은 Load Factor가 발생되면 Accelerated stall에 빠져 Load Fa..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