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ather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항공기상] Eddy Dissipation Rate Eddy Dissipation Rate가. 정의 EDR은 항공기와 독립적인 기상 변수로, 단위는 m²/s³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Turbulence가 빠르게 소산되는 대기에서는 난기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EDR이 난기류의 가능성을 측정하는 지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유체 역학에서 Turbulence는 유체의 "Turbulence"를 의미합니다. 공기도 유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기 중에서도 Turbulence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조종사들은 대형 제트기의 날개 끝에서 구름이나 연기 속으로 Turbulence가 휘도는 모습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조종사들은 이러한 Turbulence(일반적으로 보이지 않음)를 피하라고 교육을 받습니다. 왜냐하면 이.. [항공기상] Icing Icing가. 정의 및 생성조건 - 항공기 외부에 얼음이 축적되는 현상 - Icing의 생성 조건 : 눈으로 식별 가능한 과냉각 수적, 대기온도 및 항공기 표면의 온도가 0˚C 이하 - 과냉각된 물은 물질과 충돌하면 어는 성질이 있는데, Icing 또한 과냉각 수적이 항공기에 충돌하여 발생 나. Icing의 종류 ⓐ Structural Icing : 항공기 날개나 동체 표면에 발생강도내용Clear물방울의 충돌간격이 동결속도보다 빠를 때 발생 (기온 0 ~ -10˚C)온난전선 역전층 아래나 적운의 FZRA에서 발견되는 비교적 큰 수적이 표면에서 천천히 얼 때 발생투명하고 견고하며 발견되기 어려움 (발생하는 Icing 중 가장 위험하며 제거하기 어려움)Frost온도와 노점이 영하일 때 날개 표면에 발생 (.. [항공기상] Jetstream Jetstream (제트기류)가. 정의 - 대류권계면 부근에서 거의 수평방향으로 집중적으로 부는 50kt 이상의 강한 기류 - 보통 여름보다는 겨울에 더 강하게 나타나며 겨울에 저위도 방향으로 그 위치가 내려옴 - 온도차가 클수록 곡률이 현저히 증가하여 구불구불한 W자 모양을 나타냄 - 항공기 운항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현상은 CAT임 (제트기류의 골과 능 사이에서 CAT 많이 발생) - 항공기 경제 운항에도 영향 : 미국 갈 땐 한대 제트기류를 올라 탈 수 있는 NOPAC 항로 미국에서 올 땐 한대 제트기류를 피할 수 있는 POLAR 항로를 타는 게 경제적임 - 여름에는 평균풍속 65km, 겨울에는 130km로 공기밀도의 차이가 가장 큰 겨울철에 풍속이 가장 강함나. 발생지역 - 대류권상부 또는 대류권.. [항공기상] Turbulence Turbulence가. 정의 - 지표면의 불균일한 가열, 지형이나 수목 또는 건물 등에 의하여 생긴 회전기류와 바람의 급변의 결과로 불규칙한 변동을 하는 대기의 흐름 - Turbulence의 원인 : 대류성 기류, 장애물에 의한 바람의 흐름 방해, Wind Shear, Wake Turbulence - 난류의 강도 구분 (난류의 강도는 항공기 속도, 날개 넓이에 비례 & 무게에 반비례)강도내용가속도(g)풍속의 변동폭연직풍속 (ft/sec)Light약간의 순간적으로 불규칙한 고도 및 자세변화걷는 데 지장은 없으며 기내서비스 가능Seat Belt에 가벼운 당김이 느껴짐0.1 ~ 0.3(EDR 0.1 ~ 0.4)15kt 이하5Moderate약간의 규칙적인 고도 및 자세변화항공기 조종은 확실히 가능, IAS 변화.. [항공기상] Fronts 전선 (Fronts)가. 정의 - 서로 다른 기단이 만나는 곳을 전선(Fronts)이라고 함 - 온난전선, 한랭전선, 정체전선, 폐색전선이 있음나. 전선의 식별 방법 - 기온 : 전선의 통과를 가장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요소. 저고도 비행 시 급격한 기온변화는 전선의 통과를 의미 - 노점 : 전선의 통과에 따라 기온-노점분포가 달라짐 - 바람 : 전선면을 횡단할 때 풍향과 풍속이 급격히 변화 - 기압 : 기압골에 놓여있는 전선은 기압의 변화가 큼 다. 전선의 종류 및 특징 ⓐ 온난전선 - 따뜻한 기단이 찬 기단 위로 올라탈 때의 경계면 - 온난전선 통과 전/중/후 특징구분통과 전통과 중통과 후바람남 ~ 남동풍계속 변함남 ~ 남서풍기온서늘 ~ 온난서서히 상승온난 후 일정기압급강하하강약간 상승 후 감소구름.. [항공기상] Typhoon 태풍가. 정의 - 북태평양 부근 (위도 5 ~ 25˚)에서 발생하며, 중심권 최대풍속이 17m/s(34kts) 이상인 열대저기압 - 반경 200 ~ 800km, 높이 약 13km -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북위 5 ~ 20˚, 동경 120 ~ 160˚ 해역에서 연중 발생 (주로 7 ~ 10월에 많이 발생) 나. 태풍의 구분 - 중심권 최대풍속에 따라 약한 열대저기압, 열대폭풍, 강한 열대폭풍, 태풍으로 구분 - 우리나라와 일본은 중심권 최대풍속이 17m/s(34kts) 이상이면 태풍으로 분류중심부근최대풍속17m/s (34kts) 미만17 ~ 24m/s(34 ~ 47kts)25 ~ 32m/s(48 ~ 63kts)33m/s (64kts) 이상세상기상기구약한 열대저기압열대 폭풍강한 열대폭풍태풍한국 & .. [항공기상] Microburst Microburst가. 정의 - 대류활동과 연관 지어 나타나는 특수한 Wind Shear - 뇌우 or 뇌우를 동반하지 않는 소규모 대류운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강한 하강기류 (직경 2.5NM 이내) - 뇌우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지역에서 발생 (높은 습도, 불안정한 대기, 상승작용, 하층의 가열 및 상승냉각 등) 나. 특징 - 짧은 시간 (5 ~ 15분) 동안 지표면으로 강하게 부는 하향바람 (최대 -6,000fpm) - 중심으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가면서 수직/수평 방향의 Wind Shear 발생 - 강수현상이 지면에 부딪혀 생기는 Vortex Ring 혹은 구름 하부의 Virga가 Microburst의 유일한 시각적 단서 다. 항공기 운항에 미치는 영향 - 이/착륙단계 혹은 1,000ft.. [항공기상] Thunderstorm Thunderstorm가. 정의 - 적운(Cu)이나 적란운(Cb)이 모여 발달한 국지적인 폭풍 - 항공기에 가해지는 가장 위험한 기상요소를 많이 포함 (대부분 강한 돌풍과 심한 난류, 번개, 소나기, 착빙을 동반) 나. 뇌우의 생성조건 - 공기 중의 충분한 수증기 (Moisture) : 수증기를 많이 포함하면 비열 때문에 Lapse Rate가 주변 공기보다 작아짐 - 불안정한 대기 (Unstable Atmosphere) : 주변 공기의 Lapse Rate가 더 커지므로 상승할수록 수증기를 품은 공기가 상대적으로 가벼움 - 공기의 초기 상승작용 (Lifting Force) :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단열냉각되면 액체 상태로 응결, 잠열 방출. 방출된 잠열은 다시 주변 공기를 가열시켜 가볍게 만들고 결국 다시 ..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