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eromedical

[Aeromedical Factors] Spatial Disorientation

반응형

Spatial Disorientation (비행착각)

가. 비행착각과 연관된 기관

 

ⓐ Vestibular System (전정기관)

- 내이에 위치해있으며 3개의 반고리관 (각각 X/Y/Z축 담당)과 이석기관으로 구성

- 반고리관 : 머리의 회전운동이 생길 경우, 반고리관 내 림프액이 흐르면서 Hair cell을 구부러지게 함 → 신경계를 자극하여 각기속도 감지

- 이석기관 : 머리를 기울이거나 몸을 움직이면 전정기관 내 이석이 기울어져 유모세포 자극 → 신경계를 자극하여 수평/수직방향 머리운동 감지

 

ⓑ Somatosensory System (체성기관)

- 피부, 골격근, 관절에서 발생하여 신경계를 통하여 뇌로 전달되는 감각

- 중력, 소리 등 자극 특성에 따라 소리를 듣고 진동을 느끼며 위치 감각을 느낄 수 있음

 

ⓒ Visual System (시각기관)

- 시각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통해 위치 및 자세 파악

나. 비행착각의 종류와 원인 ('ICEFLAGGS')

 

ⓐ 대분류

분류
종류
Vestibular Illusion
  • Leans
  • Coriolis Illusion
  • Graveyard Spin/Spiral
  • Somatogravic Illusion
  • Inversion
  • Elevator Illusion
Visual Illusion
  • False Horizon
  • Autokinesis

ⓑ 원인

종류
원인
Inversion
  • 상승하다가 갑자기 수평비행으로 전환하면 이석기관이 자극되어 뒤로 뒤집어진다고 착각 → 기수를 찍어 누르게 됨
Coriolis
Illusion
  • 장시간 안정된 선회를 하면 반고리관 내 림프액의 움직임이 정지하는데, 이 때 차트나 계기를 보기 위해 머리를 움직이면 선회방향과는 다르게 움직이는 것으로 착각 → 자세를 역으로 교정하려 하게되어 이상자세 진입
Elevator
Illusion
  • 급작스러운 수직방향의 가속도(상승기류 등)가 생길 경우, 이석기관 자극으로 인해 상승/하강하는 것으로 착각 → 기수를 앞으로 찍어 누르거나 뒤로 당기게 됨
False
Horizon
  • 경사져 있는 구름이나 지형, 밤하늘의 별자리 등으로 인해 발생
  • 잘못된 Visual Reference를 Horizon으로 인식하여 항공기 자세가 기울어짐
Leans
  • 장시간 안정된 선회를 하면 반고리관 내 림프액의 움직임이 정지하여 수평비행으로 착각. 이 때 갑자기 선회를 멈추고 Roll-out 하면 림프액이 반대방향으로 회전 → 일시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으로 착각하여 다시 원래 방향으로 선회하려고 함
Autokinesis
  • 야간에 어둠속에서 비행할 때 벌이나 불빛과 같은 정지된 불빛을 오래 응시하면 발생
  • 마치 불빛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여 조종사는 여기에 항공기를 정렬시켜 접근시킬 수 있음
Graveyard
Spin
  • Leans와 유사
  • Spin에서 빠져나올 때 착각이 발생하면 Spin을 더욱 악화시키는 조작을 하게 됨
Graveyard
Spiral
  • 선회중에는 선회 방향으로 Lift Vector가 분산되어 추력의 추가 없이는 고도 손실 발생
  • 지속되는 선회 중에 조종사는 수평비행을 한다는 착각에 빠져 고도 회복을 위해 Elevator Back Pressure 조작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더욱 심한 고도손실 발생
Somatogravic
Illusion
  • 시계가 제한된 상태에서 흔히 발생
  • 급가속 시 관성에 의해 이석기관이 자극되어 머리가 뒤로 젖혀진 것과 같은 착각 발생 → 상승하고 있다고 착각하여 기수를 찍어 누르게 됨 (주로 이륙 시, 활주로 내 추락 위함)
  • 급감속 시 반대효과 발생 (머리가 앞으로 젖혀진 것과 같은 착각 발생) → 하강하고 있다고 착각하여 기수를 들어 올리게 됨 (비정상적인 Pitch 자세, 실속 위험
* 비행착각 방지 대책

ⓐ 비행 중 착각을 일으키는 요소에 대해 이해하고 경각심을 가진 상태에서 비행
ⓑ 비행 전 항상 기상정보 숙지
ⓒ 비행계기 운용에 능숙해지고 항상 신체감각 보다는 계기를 신뢰
ⓓ 지평선을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저시정, 야간에 수면 위 비행)에서는 비행계기에 능숙해지도록 충분히 훈련 후 비행)
ⓔ 비행계기 운용능력이 충분하기 전에는 악기상, 일몰전/후 또는 야간에 비행 금지
ⓕ 외부의 시각 참조물을 이용하는 경우 지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지점 선택
ⓖ 이륙, 선회, 접근 중에는 갑작스러운 머리 움직임 자제
ⓗ 저시정 비행 전에는 신체 컨디션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 (적절한 식사, 야간시력 적응, 음주 및 약물복용 X)

 

반응형

'Aeromedi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