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atial Disorientation (비행착각)
가. 비행착각과 연관된 기관
ⓐ Vestibular System (전정기관)
- 내이에 위치해있으며 3개의 반고리관 (각각 X/Y/Z축 담당)과 이석기관으로 구성
- 반고리관 : 머리의 회전운동이 생길 경우, 반고리관 내 림프액이 흐르면서 Hair cell을 구부러지게 함 → 신경계를 자극하여 각기속도 감지
- 이석기관 : 머리를 기울이거나 몸을 움직이면 전정기관 내 이석이 기울어져 유모세포 자극 → 신경계를 자극하여 수평/수직방향 머리운동 감지
ⓑ Somatosensory System (체성기관)
- 피부, 골격근, 관절에서 발생하여 신경계를 통하여 뇌로 전달되는 감각
- 중력, 소리 등 자극 특성에 따라 소리를 듣고 진동을 느끼며 위치 감각을 느낄 수 있음
ⓒ Visual System (시각기관)
- 시각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통해 위치 및 자세 파악


나. 비행착각의 종류와 원인 ('ICEFLAGGS')
ⓐ 대분류
분류
|
종류
|
Vestibular Illusion
|
|
Visual Illusion
|
|
ⓑ 원인
종류
|
원인
|
Inversion
|
|
Coriolis
Illusion |
|
Elevator
Illusion |
|
False
Horizon |
|
Leans
|
|
Autokinesis
|
|
Graveyard
Spin |
|
Graveyard
Spiral |
|
Somatogravic
Illusion |
|
* 비행착각 방지 대책
ⓐ 비행 중 착각을 일으키는 요소에 대해 이해하고 경각심을 가진 상태에서 비행 ⓑ 비행 전 항상 기상정보 숙지 ⓒ 비행계기 운용에 능숙해지고 항상 신체감각 보다는 계기를 신뢰 ⓓ 지평선을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저시정, 야간에 수면 위 비행)에서는 비행계기에 능숙해지도록 충분히 훈련 후 비행) ⓔ 비행계기 운용능력이 충분하기 전에는 악기상, 일몰전/후 또는 야간에 비행 금지 ⓕ 외부의 시각 참조물을 이용하는 경우 지표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지점 선택 ⓖ 이륙, 선회, 접근 중에는 갑작스러운 머리 움직임 자제 ⓗ 저시정 비행 전에는 신체 컨디션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 (적절한 식사, 야간시력 적응, 음주 및 약물복용 X) |







반응형
'Aeromedi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eromedical Factors] Middle Ear & Sinus Problems (0) | 2025.04.02 |
---|---|
[Aeromedical Factors] Hyperventilation (0) | 2025.04.02 |
[Aeromedical Factors] Hypoxia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