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eromedical

[Aeromedical Factors] Middle Ear & Sinus Problems

반응형

Middle Ear & Sinus Problems

가. 중이 (Middle Ear) 및 부비동 (Sinus)의 구조

 

ⓐ 중이 (Middle Ear)

- 중이는 고막에 의해 외이와 구분되어 있고 반대편으로는 중이와 목구멍 사이 이관(Eustachian tube)이 존재하여 중이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외부와의 공기 압력 차이를 없앰

 

ⓑ 부비동 (Sinus)

- 두개골의 전두부와 기저부 뼈 안의 공기로 가득찬 공간

- 중이와 마찬가지로 외부와 통하는 작은 공기 구멍을 통해 외부와의 압력차이 완화

- 감기나 부비동염, 비강부의 알레르기로 인한 염증으로 인해 구멍이 막히면 심한 통증 발생 (주로 하강 시)

나. 중이 및 부비동 통증유발요소 및 해결방안

종류
통증유발요소 & 해결책
Middle Ear
  • 상승 시 : 이관이 막힐 경우, 중이 내의 공기 팽창으로 내부압력 증가. 고막이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밀리면서 불편함/통증 발생
  • 하강 시 : 외부 압력이 상승하면서 고막이 안쪽으로 밀리고 이관이 협착되어 부분적인 진공상태 발생, 일시적인 청력 저하 및 심한 통증 발생
  • 해결책 : 침 삼키기, 하품하기, 코와 입을 막고 강제로 숨을 내쉬어 입 안과 콧속으로 바람을 불어넣어 이관을 부풀리는 방법. 다만 귀나 목구멍에 염증이 있어서 울혈이 동반되어 있다면 잘 먹히지 않음
Sinus
  • 마찬가지로 감기나 부비동염 혹은 비강부 알레르기로 인해 부비동의 공기통로가 막히면 상승/하강 시 내부 공기압력 변화로 인해 부비강 주변에 심한 통증 발생 (특히 하강 시 통증 심함)
  • 해결책 : 하강속도(fpm)를 줄이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됨. 가장 좋은 해결법은 부비동 질환이 있을 경우 비행을 하지 않는 것. 소염작용이 있는 스프레이는 공기통로 개방에 도움이 되나, 효과 보장 X. 경구용 약물은 전신효과에 의해 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반응형

'Aeromedic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Aeromedical Factors] Spatial Disorientation  (0) 2025.04.02
[Aeromedical Factors] Hyperventilation  (0) 2025.04.02
[Aeromedical Factors] Hypoxia  (0)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