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 정의 및 의미
- 항공기 중량에 대비하여 항공기 날개에 걸리는 하중의 비율
- Load Factor가 클수록 항공기 구조에 Damage를 줄 수 있음
- Load Factor가 증가하면 Stall Speed 증가

나. Load Factor in Turns
- 선회 시 Total Lift component가 Vertical / Horizontal Lift Component로 나뉘어 Load Factor 증가
- 60˚ Bank시 2G 증가, 즉 항공기 무게의 2배를 견디고 있다는 뜻
- 60˚ Bank시 Stall Speed 40% 증가




다. Load Factor와 Stall Speed의 관계
- Va 이하에서 높은 Load Factor가 발생되면 Accelerated stall에 빠져 Load Factor가 0에 가깝게 감소
- 만약, Va 이상에서 Limit 이상의 Load Factor가 발생되면 구조적 손상(Structural damage)을 입을 수 있음
- 가벼운 항공기가 무거운 항공기보다 같은 조타력에 의해 가속이 빠르기 때문에 더 큰 Load Factor가 걸릴 수 있으므로 중량이 가벼운
항공기일수록 Va 또한 감소함 (Graph 기울기 증가)
* Va (Maneuvering Speed)
|

반응형
'Aerodyna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erodynamics] Overbanking Tendency (0) | 2025.03.04 |
---|---|
[Aerodynamics] Adverse Yaw (0) | 2025.03.04 |
[Aerodynamics] Left Turning Tendency (0) | 2025.03.04 |
[Aerodynamics] Stalls (0) | 2025.03.04 |
[Aerodynamics] Dutch Roll & Spiral Instability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