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erodynamics

[Aerodynamics] Airspeeds

반응형

Airspeeds

ⓐ IAS (Indicated Airspeed)

- 속도계에 나타나는 속도

- IAS를 기준으로 항공기의 Performance (T/O & Landing Speed, Stall Speed 등) 결정

 

ⓑ CAS (Calibrated Airspeed)

- IAS에서 Pitot tube의 장착오차와 속도계 자체 오차를 보정한 값

- 보통 저속에서는 IAS와 CAS의 차이가 크고 Cruising speed에 가까워질수록 차이는 작아짐

ⓒ EAS (Equivalent Airspeed)

- CAS에서 Pitot tube에 부딪히는 공기의 압축효과를 보정한 값

- Pitot tube 입구에 부딪히는 공기의 속도가 매우 빠르면 공기가 압축되고, 그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여 속도는 실제보다 크게 지시됨

- 일반적으로 고도 20,000ft, 속도 200kts 이하에서는 공기 압축오차가 크지 않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음

 

ⓓ TAS (True Airspeed)

- EAS 또는 CAS에서 Density Altitude (밀도고도, 외기온도)를 보정한 값

- 동일한 IAS로 비행하는 경우, 항력의 감소로 인해 TAS 증가

- 1,000ft 상승 당 IAS의 2%를 더함

 

ⓔ GS (Ground Speed)

- TAS에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한 속도

- 항공기가 실제 지면을 이동한 속도로 항법에 이용

 

ⓕ Mach No.

- 음속에 대한 항공기 TAS의 비율 (음속은 온도에 정비례)

- 항공기가 음속에 접근함에 따라 날개 윗면에서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충격파가 발생하므로 고속비행 시 음속 도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ach No를 항상 확인해야 함 (충격파 발생 시 양력이 감소하고 항력은 급격히 증가, 진동 증가, 조종성 감소)

* 음속의 분류 & 임계 마하수 (MCR)


  • 음속의 분류
- 아음속 : M0.75 이하
- 천음속 : M0.75 ~ M1.2
- 초음속 : M1.2 ~ M5.0


  • 임계 마하수 (Critical Mach No.)
- 날개 위의 어떤 곳에서의 국부적인 공기흐름이 음속(M1.0)에 도달했을 때의 항공기 Mach No.
- 충격파 발생으로 인한 Performance 감소를 회피하기 위한 지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