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erodynamics

[Aerodynamics] Altitudes

반응형

Altitudes

가. 고도의 정의

- 어떠한 기준(Reference)으로 작용하는 점이나 표면으로부터의 수직거리

- 아래와 같이 다섯 가지 종류가 있음

 

나. 고도의 종류

종류
의미
Indicated Altitude (지시고도)
  • 고도계에 표시되는 고도 값
True Altitude (진고도)
  • 고도계 기압창에 그 지역의 평균해수면 기압치를 맞췄을 때 지시되는 고도 (MSL)
  •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항공기까지의 실제 높이
  • 전이고도 이하에서는 고도계가 진고도를 지시하도록 비행하고 있는 지역의 최신 기압치(QNH) Set
Absolute Altitude (절대고도)
  • 지표면 또는 장애물로부터 항공기까지의 실제 높이 (AGL)
  • 이륙 전 고도계가 '0'을 지시하도록 기압치를 맞춘 후 (QFE) 이륙했을 때의 고도
  • 레이더 고도계 또는 전파고도계로 측정하기도 함
Pressure Altitude (기압고도)
  • ISA 조건 (29.92inHg, 15˚)인 가상의 Standard Datum Plain으로부터의 고도
  • 고도계 기압창을 29.92inHg로 맞췄을 때(QNE) 지시되는 고도
  • 전이고도 이상에서는 고도계가 기압고도를 지시하도록 29.92inHg(STD) Set
Density Altitude (밀도고도)
  • Pressure Altitude에서 비표준 온도에 대해 보정한 고도
  • 항공기의 성능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되며 항공기의 참조고도로는 사용하면 안 됨
다. 밀도고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영향을 받는 요소
밀도고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밀도고도의 영향을 받는 요소
  • 고온, 다습, 고고도 시 공기밀도 감소로 밀도고도 높아짐
  • 3H - Hot, Humid, High
  • 겨울이 여름보다 공기밀도가 높아 밀도고도 낮음
  • 추력 : 공기밀도가 낮아져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질량 감소 & 프로펠러가 밀어내는 공기의 양 감소 → 추력 저하
  • 양력 : 날개 주위를 흐르는 공기의 양 감소 → 양력 저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