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erformance

[Performance] Hydroplaning

반응형

Hydroplaning, 수막현상

가. 정의

- 수막현상이라고도 하며, 항공기가 활주로에 고여 있는 물 또는 얼음 등에 의해 착륙 시 미끄러지는 현상

- 지상 운용에서의 조종성과 제동성능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음

 

나. 종류

종류
특징
Dynamic
  • 활주로에 고여 있는 물이 있고 항공기 속도가 빠를 경우, 수막층의 압력과 타이어 압력이 같아 항공기의 타이어가 수막에 의해 뜨게되는 현상
  • 항공기 속도가 빠를수록 잘 일어나며 Dynamic Hydroplaning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속도는 타이어 압력에 비례
Reverted Rubber
  • 접지 시 강한 제동조작으로 인해 Skid 현상이 발생하면서 노면과 타이어 사이에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이 타이어를 녹이면서 홈을 메워 배수를 지연시킴
  • 또한 타이어 하부의 수막은 뜨거운 마찰열로 인해 증발하면서 증기가 되어 타이어와 활주로를 이격시켜 제동 및 조향 성능을 떨어뜨림
Viscous
  • 활주로 상에 Skid 마크와 같이 매끈매끈한 면이 있을 때 아주 얇은 수막에 의해서도 발생
  • 매끈매끈한 면 위에서 타이어가 물의 점성을 뚫을 수 없어 수막 위로 올라타게 되는 현상
 
 
 
다. Hydroplaning 발생 시 대처방안 접지속도는 가능한 낮게

- 제동방법

1. 접지속도는 가능한 낮게

2. 고속에서는 Brake를 걸지 않고 바퀴 회전에 의한 마찰력으로 감속

3. Differential Brake가 아닌 Rudder로 조향 유지

4. Aerodynamic Brake 사용

5. 가능한 거친 표면에 Touchdown & Landing Rol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