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ather

[항공기상] Relative Humidity & Performance

반응형

상대습도 / 이슬점 / Performance의 상관관계

가. 상대습도 (Relative Humidity)

- 특정 기온/기압 조건에서 Air Parcel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수분 질량에 대해 Air Parcel이 포함하고 있는 수분의 질량을 %로 나타낸 수치

- 상대습도를 통해서는 공기가 실제로 수분을 얼마나 함유하고 있는지 알 수 없지만, 공기가 포화상태에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 알 수 있음

- Air Parcel이 수분을 얼마나 함유할 수 있는지는 공기의 온도에 달려 있음

→ 수분의 양 변화 없이 온도만 올라가면 상대습도 감소, 온도만 내려가면 상대습도 증가

나. 이슬점 (Dew Point)

- 불포화상태의 Air Parcel이 일정한 기압과 수증기가 분압을 유지하며 냉각됐을 때, 포화상태에 도달하여 수증기가 응결되는 온도 (R.H 100%)

- 공기가 함유하고 있는 수증기 양이 많을수록 이슬점이 높음. 수증기 양이 동일하면 이슬점도 동일

 

다. Spread (Dew Point Depression)

- 기온과 이슬점의 차이 값

- Spread가 0이면 Relative Humidity = 100%

- 비행 전 기상을 예측함에 있어 안개/구름의 존재 혹은 생성 여부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척도 (다만, 강수현상과는 거리가 있음. 강수현상이

생기려면 두꺼운 층에 걸쳐 포화상태에 도달해야 하는데, Spread를 통해서는 Ceiling 높이만 예측 가능. 구름의 두께는 예측 불가)

- Ceiling Height (AGL) = [(Temp ˚C - DP ˚C) / Lapse Rate ˚C] * 1,000

- Spread가 2˚C 이상인 경우에는 Fog가 거의 생기지 않음

 

라. 상대습도와 Performance의 상관관계

- 습도가 높을수록 공기 밀도 감소

- Density altitude의 증가로 인해 항공기 추력, 양력 등 Performance 감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