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ather

[항공기상] Temperature Inversion

반응형

기온역전

가. 정의

-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데, 기온 역전 현상에서는 높은 고도의 기온이 높고 낮은 고도의 기온이 낮게 나타남

- 고기압 상태에서 바람이 불지 않고 일교차가 큰 날에 잘 발생하는 현상

* 기온역전이 고기압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유

- 공기 하강 : 고기압 지역에서는 공기가 하강하고 이 하강 과정에서 공기가 압축되며 온도가 상승. 지표면 근처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차가워져 상층의 따뜻한 공기와 역전층이 형성.

- 안정된 대기 : 고기압에서는 대기가 안정되어 수직 운동이 억제됨. 이로 인해 지표면의 차가운 공기와 상층의 따뜻한 공기가 섞이지 않아 기온 역전이 유지됨.

- 맑은 날씨 : 고기압은 일반적으로 맑은 날씨를 동반. 맑은 밤에는 지표면이 복사 냉각으로 빠르게 식어 지표면 근처의 공기가 더 차가워지며, 상층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유지됨.

- 약한 바람 : 고기압에서는 바람이 약해 공기의 수평 이동이 적음. 이로 인해 지표면의 차가운 공기가 한곳에 머물며 상층의 따뜻한 공기와의 온도 차이가 더 커짐.

- 찬 공기 위에 더운 공기가 겹쳐 있는 경계면을 역전층이라고 함

- 기온 역전층이 있는 구간에서는 Wind Shear가 예상되므로 Va 이하로 비행

- 고도에 따른 온도 차이에 의해 공기가 섞이는 현상이 발생. 온도차가 클 수록 Wind Shear 강도는 더 세짐

- 고온 -> 저온 비행 시 진고도(True Altitude)가 지시고도(Indicated Altitude)보다 낮으므로 주의 (Hot to Cold, Look out below)

 

나. 종류

- Ground Based Inversion : 맑고 바람이 약한 밤에 차가운 지면에 의해 하층부 공기가 냉각되어 발생

- Aloft Inversion : 상층부에서 고도에 따라 기온이 증가하는 현상

- Frontal Inversion : 온난전선 혹은 한랭전선의 전선면에서 발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