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ather

[항공기상] Fogs

반응형

Fogs

가. 안개의 정의 및 생성/소산 조건

 

ⓐ 안개의 정의

- 지상에서 50ft 이내에 발생한 구름

- 20ft AGL 이하의 Radiation Fog를 Ground Fog라고도 함

 

ⓑ 안개의 생성조건

- 대기 중에 수증기가 다량으로 함유

- 바람이 없을 것

- 대기 상층이 안정 (고기압권, 대기가 불안정하고 상승기류가 발생하면 적란운 생성)

- 공기가 노점온도 이하로 냉각 (기온과 이슬점 차이가 작을수록 안개 생성 가능성 커짐)

- 응결을 촉진시키는 응결핵 존재

- 기온역전층에서 발생

 

ⓒ 안개의 소산조건

- 지표 부근의 강한 바람 (구름의 형태로 상승)

- 공기의 가열로 인한 기온역전 해소

- 차갑고 밀도가 큰 공기의 유입 (이동 또는 증발)

 

나. 안개의 종류

종류
특징
Radiation Fog
  • 바람 없이 잔잔하고 맑은 날 밤에 습윤한 공기가 지면의 복사냉각으로 인해 생성
  • 공기 정체(분지) 또는 기온역전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 한밤중에서 이른 아침, 일출 전/후에 가장 짙음
  • 낮이 되면서 지면의 온도가 상승하여 Burn-off 되어 소산되는 경우가 많음
Advection Fog
  • 온난하고 습윤한 공기가 한랭한 육지나 수면 위로 이동해 하층부터 냉각되어 생성
  • 바람 15kts 이하에서 생성 (15kts 이상일 땐 저고도 층운 생성)
  • 태양이 뜬다고 해서 소멸되지 않으며 주로 해안지방에 발생 (해무)
Upslope Fog
  • 습윤한 공기가 산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갈 때 단열냉각되어 생성
  • 바람이 있어야 생성되고 태양에 의해 소산되지 않고 수 시간 ~ 하루 가량 지속 가능
Steam Fog
  • 한랭한 공기가 따뜻한 수면 위를 지날 때 수면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냉각되어 발생
  • 공기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유일한 안개
  • Steam Fog가 있는 곳에서는 저고도 Turbulence와 착빙을 예상할 수 있음
Frontal Fog
  • 전선 근처에서 강수현상이 발생할 때, 강수현상에서 증발하여 포화된 수증기가 한랭한 지면을 통과할 때 과포화되어 발생
  • 주로 온난전선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조건만 맞으면 다른 전선면에서도 생성 가능
Ice Fog
  • 온도가 낮고 바람이 없을 때 수증기가 승화하여 발생
  • 영하 32˚C 이하에서 발생 (주로 극지방 or 한대지방)
 

반응형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상] Microburst  (0) 2025.03.13
[항공기상] Thunderstorm  (0) 2025.03.13
[항공기상] Clouds  (0) 2025.03.10
[항공기상] Temperature Inversion  (0) 2025.03.10
[항공기상] Lapse Rate & Stability  (0)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