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ather

[항공기상] Thunderstorm

반응형

Thunderstorm

가. 정의

- 적운(Cu)이나 적란운(Cb)이 모여 발달한 국지적인 폭풍

- 항공기에 가해지는 가장 위험한 기상요소를 많이 포함 (대부분 강한 돌풍과 심한 난류, 번개, 소나기, 착빙을 동반)

 

나. 뇌우의 생성조건

- 공기 중의 충분한 수증기 (Moisture) : 수증기를 많이 포함하면 비열 때문에 Lapse Rate가 주변 공기보다 작아짐

- 불안정한 대기 (Unstable Atmosphere) : 주변 공기의 Lapse Rate가 더 커지므로 상승할수록 수증기를 품은 공기가 상대적으로 가벼움

- 공기의 초기 상승작용 (Lifting Force) :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단열냉각되면 액체 상태로 응결, 잠열 방출. 방출된 잠열은 다시 주변 공기를 가열시켜 가볍게 만들고 결국 다시 상승기류를 형성

 

다. 뇌우의 일생

단계
특징
Cumulus Stage
(적운기)
  • 초기 상승작용에 의해 상승한 수증기가 응결되면서 잠열 방출, 주변 공기를 가열시켜 재상승
  • 강한 상승기류가 존재하고(+3,000fpm) 운중 기온이 주변 온도보다 높음
  • 강한 상승기류 때문에 물방울이 하강하지 못하여 강수현상 X
  • Light Turbulence & Moderate ~ Severe Icing
Mature Stage
(성숙기)
  • 우적이 커지면서 비나 우박의 형태로 낙하, 강수현상 발생
  • 상승기류의 일부는 강수현상과의 마찰로 인해 하강기류로 변화
  • 지상에서는 강한 돌풍 형태의 지상풍이 형성
  • 강수/우박/번개/강풍 등의 악기상이 15 ~ 30분 가량 지속
  • Moderate ~ Severe Turbulence & Icing
Dissipating Stage
(쇠퇴기)
  • 구름 꼭대기 부근의 상승기류가 약해지면서 모루구름과 함께 소멸단계에 접어듦 (모루구름 부근은 우박이나 얼음 알갱이가 빠져나오는 통로이므로 매우 위험)
  • 하강기류만 존재하고 강수현상이 약해지면서 하강기류 또한 약해짐
  • 운중 기온이 주변 온도보다 낮아짐
  • 구름이 층운형으로 변하면서 최종적으로 뇌우가 소명
  • Light Turbulence

라. 뇌우 회피방법

- 수평 : Upwind 방향 / Wx Radar에 관측된 Echo로부터 최소 20NM 이상 회피

- 수직 : Thunderstorm 위로 비행해야 할 경우, 최소 5,000ft 이상 수직간격 유지 (아래 비행 절대 금지) 5,000ft 미만으로 비행 할 경우, 충분한 거리를 두고 Upwind 방향으로 우회

- 뇌우가 비행 구역의 60% 이상을 덮고 있다면 전 구간 우회

- 접근하는 뇌우를 맞대고 이착륙 금지

- 모루구름(Anvil Cloud) 주변은 반드시 회피 (강력한 상승기류, 우박 등이 얼음알갱이 충돌 위험)

- 착빙은 Thunderstorm의 모든 고도에서 발생할 수 있음 (특히 -8 ~ +8˚C 온도 구간이 가장 위험)

- Wx Radar 없이 구름 속에 숨어있는 뇌우(EMBD TS) 속을 비행하지 말 것

- Wx Radar에 관측된 말린 듯한 Echo는 저기압성 회전력에 의해 그 모양이 변화한 것이므로 특히 위험

 

마. 뇌우 진입 시 대응 방법

- 일정한 자세 유지 (고도 유지 X), Autopilot OFF

- Va 이하의 뇌우 통과속도에 맞는 고정 PWR Set

- 계획된 비행경로를 유지하고 일직선으로 비행 (선회비행 지양)

- 방빙/제방장치 ON

- Cockpit Light의 밝기를 Max로 조절하고 계기 Monitor

- Seat Belt ON

 

바. 뇌우의 종류

- Single Cell : 하나의 Cell로 구성 (20 ~ 30분 가량 지속). 뇌우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이나 수명이 짧고 직경이 작아 쉽게 회피 가능

- Multi Cell : Single Cell이 연쇄적으로 무리를 이루는 형태. 각개의 Single Cell이 발달하면서 이동할 때 풍상쪽에서 상승기류에 의해 새로운 Single Cell 생성. 뇌우의 3가지 생성조건이 충족되는 한 생성이 지속되며 통상적으로 수 시간 지속됨

- Squall Line TS : 좁은 띠 모양으로 나타나는 뇌우선. 주로 한랭전선의 50 ~ 300NM 전면에 형성, 우회하기는 너무 길고 통과하기도 위험함

 

사. Squall Line TS
- Squall line이란 전선이 아닌 좁은 띠 모양으로 나타나는 불안정 선을 뜻하며 여기서 발생하는 뇌우를 스콜라인 뇌우라 함. 스콜라인은 심한 뇌우를 동반
- 스콜라인은 전선이 없어도 형성될 수 있음
- 주로 습윤하고 불안정한 대기 속을 빠르게 이동하는 한랭전선의 전면 50 ~ 300mile 지점에 평행하게 발생하며 그 길이가 수백마일 까지 이어짐. 
- 형태 : 길고 좁은 선형 구조로, 수백 킬로미터까지 확장
- 강한 바람 : 순간적인 강풍(스콜)이 발생하며, 돌풍 속도가 시속 100km를 넘을 수 있음
- 강한 강수 : 짧지만 매우 강한 비, 우박, 뇌우가 동반
- 빠른 이동 : 빠르게 이동하며, 통과 시 급격한 날씨 변화를 가져옴
- 기타 현상 : 번개, 천둥, 토네이도가 발생할 수도 있음

- Squall line은 대기 불안정, 수증기, 상승 기류 등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주로 봄과 여름에 발생.

반응형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상] Typhoon  (0) 2025.03.13
[항공기상] Microburst  (0) 2025.03.13
[항공기상] Fogs  (0) 2025.03.10
[항공기상] Clouds  (0) 2025.03.10
[항공기상] Temperature Inversion  (0)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