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착륙거리 산출 시 Distance에 고려하지 않는 항목은?
가. PRESSURE ALTITUDE
나. SLOPE
다. SPEED
라. WIND
2. Uphill runway는 항공기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가. Take off distance 증가
나. 이륙 속도(IAS) 증가
다. 정지거리 증가
라. Take off distance 감소
3. Wet시 이륙경로에서 장애물 상공을 최소 얼마로 통과해야 하는가?
가. 50ft
나. 35ft
다. 30ft
라. 15ft
4. 항공기가 이륙시 Tail skid 방지를 위한 Speed는 무엇인가?
가. Vmcg
나. Vlof
다. Vmca
라. Vmu
5. Dry 상태에서 항공기 성능을 산출하였다. 성능상 Penalty가 없는 활주로는 무엇인가?
가. Damp
나. Wet
다. 1/4 inch slush
라. 1/4 inch dry snow
6. 항공기가 순항 시 연료가 가장 적게 소모되는 순항속도는?
가. LRC
나. MRC
다. Constant speed
라. VMO
7. 착륙시 속도를 나타내는 VREF은 Stall speed의 몇 배인가? (단, VS 1G가 아님)
가. 1.5
나. 1.25
다. 1.3
라. 1.4
8. 이륙 또는 착륙하려는 항공기에 활주로를 알려주기 위하여 그 활주로 양측에 설치하는 등화는?
가. 활주로시단등
나. 활주로등
다. 활주로시단식별등
라. 활주로중심선등
9. ACAS를 갖추어야 하는 대상 항공기는?
가.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모든 비행기
나. 최대이륙중량이 5,700kg를 초과하거나 승객 9명을 초과하여 수송할 수 있는 터빈발동기를 장착한 비행기
다.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터빈발동기를 장착한 비행기
10. 항공안전장애 발생 시 언제까지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하는가?
가. 항공안전장애를 인지한 시점부터 72시간 이내
나. 항공안전장애 발생 즉시
다. 항공안전장애를 인지한 시점부터 10일 이내
라. 항공안전장애를 인지한 시점부터 7일 이내
11. 다음 중 항공교통관제업무가 아닌 것은?
가. 접근관제업무
나. 비행장관제업무
다. 계류장관제업무
12. 항공기의 중대한 손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 발동기 덮개가 떨어져 나가면서 항공기를 손상시킨 경우
나. 발동기 부품 또는 덮개의 손상
다. 발동기가 떨어져 나간 경우
13. 산소마크스를 필수로 써야하는 고도는?
가. 15,000ft
나. 8,000ft
다. 10,000ft
라. 12,500ft
14. 3/8 ~ 4/8 운량 표기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가. FEW
나. SCT
다. BKN
라. OVC
15. Precipitation-induced fo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보통 짧은 지속시간을 가진다
나. 상대적으로 더 차가운 비 혹은 이슬비가 따뜻한 공기를 통해 내리면서 생긴다
다. 상대적으로 더 따뜻한 비 혹은 이슬비가 더 차가운 공기를 통해 내리면서 생긴다
16. 보통 완만한 경사를 갖고 있어서 전선면을 따라 상승하는 따뜻한 공기의 상승이 점진적인 전선은 무엇인가?
가. 한랭전선
나. 온난전선
다. 폐색전선
라. 정체전선
17. 1개 엔진 부작동 상태로 enroute상에서 상승할 경우 장애물 상공을 최소 얼마로 통과해야 하는가?
가. 1,000ft
나. 35ft
다. 2,000ft
라. 15ft
18. Critical engine failure speed는 무엇인가?
가. V1
나. V2
다. Vref
라. Vr
19. VOR PASSAGE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가. VOR CDI가 FLUCTUATION 된다
나. VOR indicator가 to에서 from으로 변하는 때
다. VOT detector가 90도를 가르칠 때
라. 양쪽으로 30도를 초과할 때는 감지할 수 없다
20. Simultaneous ILS/MLS apporach 수행하기 위한 두 runway의 최소한의 간격은?
가. 1,500ft
나. 2,500ft
다. 3,500ft
라. 4,300ft
21. SPECI(특별관측보고) 발표기준이 아닌 것은?
가. 평균풍향이 가장 최근에 보고한 풍향보다 30°이상 변화
나. 평균풍속의 변동(gust)이 최종보고에 주어진 값보다 10kt(5m/s)이상 변화
다. 1,500ft(450m) 미만의 높이에 있는 운량이 SCT이하에서 BKN으로 변화
라. 뇌전이 시작될 때
22. ILS Category minimum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가. CAT Ⅰ: 550M / CAT Ⅱ: 350M
나. CAT Ⅰ: 500M / CAT Ⅱ: 350M
다. CAT Ⅰ: 550M / CAT Ⅱ: 300M
라. CAT Ⅰ: 500M / CAT Ⅱ: 300M
23. 다음 중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비행장의 중요한 시설은?
가. 유도로, 계류장, 관제탑, 비행장 표지시설, 격납고, 급유시설
나.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격납고, 항행안전시설, 급유시설
다. 착륙대, 에이프런, 격납고, 비행장 표지시설, 급유시설
라. 활주로, 유도로, 격납고, 에이프런, 항공교통 관제탑
24. 737-800의 Circling Approach category는?
가. ICAO: CAT B / FAA: CAT C
나. ICAO: CAT C / FAA: CAT D
다. ICAO: CAT D / FAA: CAT C
라. ICAO: CAT C / FAA: CAT C
25. 다음 중 시계접근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가. 시계접근은 IAP가 아니다.
나. 시계접근의 승인은 VFR을 승인하는 것이다.
다. 레이더 서비스는 자동으로 종결된다.
라. 실패접근 구간이 없다.
26. 운송용 항공기에서 W & B의 용어 중 Basic empty weight에 포함되는 Item은?
가. Tire & Brake
나. Life raft
다. Service item
라. Potable water
27. 장차 항공기에서 모니터로 Airway manual chart를 볼 수 있게 해 주는 장비는?
가. EIB(Electronic Information Bag)
나. EFB(Electronic Flight Bag).
다. EAB(Electronic Aircraft Bag)
라. EJM(Electronic Jeppeson Manual)
28. V1 결정에 연관없는 것은 무엇인가?
가. CG
나. 무게
다. 활주로 길이
라. 고도/온도
29. 다음 중 Spin recovery 절차 시 옳지 않은 것은?
가. Power - Idle
나. Bank - Wings level
다. Rudder - Opposite
라. Pitch - Back pressure
30. 항공기 성능과 무관한 계기는?
A. Heading indicator
B. ASI
C. Altimeter
D. Attitude indicator
'항공사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10 (0) | 2025.04.03 |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9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7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6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5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