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사 기출문제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6

반응형

1. 통신두절 항공기의 경우, 무선통신이 두절되기 전에 관할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지정받은 접근예정시간과 도착예정시간 중 더 ( ) 시간으로부터 ( ) 분 이내에 착륙해야 하는가?

가. 이른, 20분

나. 이른, 30분

다. 늦은, 30분

라. 늦은, 45분

 

2. 승객 좌석수가 160석인 항공기에 90명의 승객이 탑승할 경우, 필요한 객실승무원 수는?

 

가. 3명

나. 4명

다. 5명

라. 6명

 

3. 승객 좌석수가 150석인 항공기 객실에 비치하여야 하는 소화기의 수량은?

 

가. 2개

나. 3개

다. 4개

라. 5개

 

4. 승객 좌석수가 250석인 항공기에 비치해야 될 메가폰의 수는?

 

가. 1개

나. 2개

다. 3개

라. 4개

 

5. 운항 승무원이 비행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항공기에 탑승하여 이륙을 목적으로 항공기가 최초로 움직이기 시작한 시각부터 비행이 종료되어 최종적으로 항공기가 정지한 시각까지 경과한 총시간은 무엇인가?

 

가. 승무시간

나. 비행근무시간

다. 휴식시간

라. 이동시간

 

6. 다음은 비행장 또는 그 주변을 비행하는 항공기 조종사가 따라야 할 규정이다. 틀린 것은?

 

가. 이륙하려는 항공기는 안전고도 미만의 고도 또는 안전속도 미만의 속도에서 선회하지 말 것

나. 이륙하는 다른 항공기 다음에 착륙하려는 항공기는 이륙항공기가 이륙하여 활주로의 종단을 통과하기 전에는 착륙하기 위하여 당해 활주로의 시단을 통과하지 말 것

다. 비행장 착륙하기 위하여 접근하거나 이륙 중 선회가 필요할 경우에는 달리 지시를 받지 아니하는 한 우선회 할 것

라. 비행안전, 활주로의 배치 및 항공교통상황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이륙 및 착륙할 것

 

7. CategoryⅡ 의 결심고도(DH) 및 활주로가시범위(RVR)은?

 

가. 30m 이상 60m 미만, RVR 300m 이상 550m 미만

나. 30m 이상 60m 미만, RVR 175m 이상 300m 미만

다. 30m 미만 또는 적용하지 아니함, RVR 150m 이상 300m 미만

라. 30m 미만 또는 적용하지 아니함, RVR 50m 이상 250m 미만

 

8. 기장이 국토해양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할 항공기사고가 아닌 것은?

 

가. 사람의 사망, 중상 또는 행방불명

나. 항공기의 중대한 손상, 파손 또는 구조상의 고장

다. 항공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거나 항공기에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라. 운항승무원의 조종능력 상실

 

9. Category III-A 의 결심고도(DH) 및 활주로가시범위(RVR)은?

 

가. 30m 이상 60m 미만, RVR 300m 이상 550m 미만

나. 30m 이상 60m 미만, RVR 175m 이상 300m 미만

다. 30m 미만 또는 적용하지 아니함, RVR 175m 이상 300m 미만

라. 30m 미만 또는 적용하지 아니함, RVR 50m 이상 175m 미만

 

10. 기장은 항공기 사고 또는 항공기 준사고가 발생한 때에 언제까지 국토해양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보고하여야 하는가?

 

가. 지체없이 보고해야 한다.

나. 7일 이내

다. 10일 이내

라. 15일 이내

 

11. 전이고도 미만의 고도로 비행하는 경우 기압고도계의 수정은?

 

가. 표준기압치 1013.2hPa로 수정

나. 표준기압치 1013.2hPa로 수정

다. 185km 이내에 있는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QNH로 수정

라. 185km 이내에 있는 항공교통관제기관으로부터 통보받은 QNE로 수정

 

12. 출발비행장의 기상상태가 비행장운영 최저치 이하이거나 그 밖의 다른 이유로 출발비행장으로 되돌아 올 수 없는 경우 설정하는 교체비행장은?

 

가. 이륙교체비행장

나. 항로교체비행장

다. 목적지교체비행장

라. 근접교체비행장

 

13. 다음 중 ANNEX 11 항공교통업무(ATS) 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비행장 관제

나. 접근 관제

다. 계류장 관제

라. 지역 관제

 

14. 다음 중 Microburs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좁은 지역에 집중되는 하강기류

나. 약 5~15분 가량 유지되고, 강한 Windshear는 2~4분 사이에 발생함

다. Cloud base의 5mile 이내, 지표부근의 10mile 이내의 작은 범위에서 발생하는 강한 하강 기류

라. 지표면에 도달하면 하강기류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위로 흩어지면서 영향을 미친다.

 

15. 다음 중 Windshear와 관련된 내용이 아닌 것은?

 

가. 풍향 및 풍속의 변화 비율로 표시

나. 저고도 기온역전층에서도 발생

다. Cold front 전면에서, Warm front 후면에서 발생 가능성이 높다

라. Jet stream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CAT도 Windshear이다.

 

16. 다음 중 CAT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가 아닌 곳은?

 

가. 기압골과 기압마루 주변

나. 대류권계면 또는 제트기류와 연계된 지역

다. CB가 발달되어 있는 장소 근처

라. 산악파가 발생되거나 온도의 변화가 나타나는 곳

 

17. 다음 태풍에 관한 설명 중 바른 것은?

 

가. 태풍을 만드는 3가지 요소는 수증기(충분한 온도), 지구의 전향력, 그리고 안정된 대기 상태이다.

나. 북반구에서 태풍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다. 안정한 대기와 전향력이 거의 없는 열대수렴대에서는 태풍이 발생하지 않는다.

라. 북반구에서 태풍진행방향의 왼쪽이 더 위험하다.

 

18. 다음 중 Wind and temperature Chart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가. 바람

나. 온도

다. TB

라. CB

 

19. METAR의 RMK에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었다. 35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셀 전체 선택
열 너비 조절
행 높이 조절
RMK WSHFT 35 FROPA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가. 풍향의 변화

나. 분

다. 활주로방향

라. GUST 풍속

 

20. METAR에서 Sky condition을 표시할 때, FG나 DS 등으로 구름을 관측할 수 없는 경우, 구름의 운량과 AGL로 나타내는 운저고도를 대신하여 표시하는 약어는 무엇인가?

 

가. / / /

나. VV

다. COR

라. NSC

 

21. 다음 중 High level SIGXW chart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가. Jet stream

나. 대류권계면 고도

다. CAT

라. 온도

 

22. High level SIGWX chart가 예상하는 기상정보의 고도 범위는?

 

가. 25,000 ~ 63,000ft

나. 30,000 ~ 60,000ft

다. 10,000 ~ 45,000ft

라. SFC ~ 30,000ft

 

23. 다음은 항공기 고도계에 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가. 고기압대에서 저기압대로 이동 시 고도계 세팅을 하지 않으면, 고도계가 가리키는 지시고도 보다 실제고도는 더 낮다.

나. 기압고도계를 정확하게 세팅하였다면 온도 변화에 따른 보정은 할 필요가 없다.

다. 전반적으로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산악파가 발생하였을 경우, 산악파가 발생한 산악지역에서는 지시고도가 실제고도보다 낮다.

라. 추운 지역에서 더운 지역으로 비행 시 온도 보정을 하지 않으면, 지시고도 보다 실제고도가 더 낮다.

 

24. METAR에서 VV는 언제 사용되는가?

 

가. 운량이 Overcast 일 때

나. 하늘이 차폐되었을 때

다. CAVOK 일 때

라. 활주로가 부분적으로 차폐되었을 때

 

25. 다음 중 Weather radar에서 가장 탐지하기 쉬운 것은?

 

가. Dry hail

나. Rain

다. Snow

라. Wet hail

 

26. 국제표준대기(International Standard Atmosphere)의 기온 감율(Lapse Rate)은?

 

가. 2 deg.C per 1,000ft

나. 2 deg.F per 1,000ft

다. 1.5 deg.C per 1,000ft

라. 3 deg.C per 1,000ft

 

27. 기장이 대류권계면 고도(Tropopause Height)를 알아야 하는 가장 적절한 이유는?

 

가. 대게 대류권계면 아래에만 기상 현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나. 대류권계면 위로 공기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한다.

다. 제트기류 및 CAT(Clear Air Turbulence)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라. 대류권계면 위로 공기 온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28. 한여름 아침에 작은 적운(Cumulus)이 있다면, 이날 오후 예보로 적합한 것은?

 

가. 맑은 하늘(Clear Skies)

나. 층운 및 안개비(Stratus and Drizzle)

다. 적란운(CB or Cumulonimbus)

라. 연무(Haze)

 

29. PBN system 내의 Airspace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Airspace 개념은 특정 공역에 대한 master plan 성격을 띄고 있다.

나. Airspace 개념은 safety, capacity, efficiency, environment, access 와 같은 전략적 목적들에 기반을 둔다.

다. Communication, Navigation, ATS surveillance, ATM 은 Airspace 개념의 핵심 요소들이다.

라. ADS 는 항법의 핵심 요소이다.

 

30. 이 항법은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까지의 최단거리 비행을 가능하게 했으며, 지상 항행 시설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이 항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Class I navigation

나. Class II navigation

다. Conventional navigation

라. Area navigation

반응형

'항공사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