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TORA + Stopway의 정의로 맞는 것은?
가. 이륙활주가용거리
나. 가속정지가용거리
다. 유효이륙활주거리
라. 착륙가용거리
REF. 비행장시설 설치기준 제8조
2. Weight & Balance에서 민항기와 같은 대형 항공기에서 각 moment 값은 굉장히 크므로 이 moment를 익숙한 적은 숫자로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가. Datum line
나. Index Unit
다. MAC
라. Moment
REF. 조종사 표준교재 (비행이론) 1.4 항공기 무게중심의 계산
3. ATIS의 범위는?
가. 최대 30NM/FL180
나. 최대 40NM/FL200
다. 최대 50NM/FL250
라. 최대 60NM/FL250
REF. 항공정보 메뉴얼 2.1.3
4. De-icing / Anti-icing 관련 Holdover time의 의미는?
가. 제빙 용액을 뿌린 후 항공기가 이륙해야 하는 제한시간
나. 제빙 용액이 기체 표면에 형성된 Icing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다. 제빙 용액이 Icing 형성으로부터 기체를 보호할 수 있는 시간
라. 제빙 용액을 뿌린 후 항공기가 지상활주 해야 하는 제한시간
REF. ICAO 9640 3-4-1
5. METAR에서 NSC는 무엇의 약자인가?
가. No Significant Cloud
나. Nil Significant Cloud
다. Nil Stratos Cloud
라. No Spread Cloud
REF. 항공정보 메뉴얼 6.1.21
6. ATIS에서 운고, 하늘상태, 시정, 시정 장애물 정보를 생략할 수 있는 기상 조건은?
가. 운고 5,000ft, 시정 5SM 초과
나. 운고 5,000ft, 시정 5NM 초과
다. 운고 5,000ft, 시정 3SM 초과
라. 운고 5,000ft, 시정 3NM 초과
REF. 항공정보 메뉴얼 2.1.3
7. SPECI에 대한 정보로 틀린 것은?
가. 평균 풍향이 가장 최근에 보고한 풍향보다 60도 이상 변화할 때
나. 보통 또는 강한 강수가 시작될 때
다. 평균 풍속이 가장 최근데 보고한 평균 풍속보다 15kt 이상 변화할 때
라. 보통 또는 강한 강수가 종료될 때
REF. 항공종사자 표준교재(항공기상) 24.1.1
8. 다음 중 맞는 것은?
가. 9900 : 시정이 10km 이상, 5,000ft 이하에 구름이 없어야 한다
나. NSW : Nil Significan Weather의 약어로 기상변화가 없을 때 보고됨
다. NSC : Nil Significant Cloud의 약어로, 자동기상관측장비가 구름이 없는 것으로 관측 하였을 때 보고됨
라. CAVOK : 시정 10km 이상, 5,000ft 이하에 구름이 없으며 비구름이나 강수현상이 없을 때
REF. 항공정보 메뉴얼 6.1.21
9. SIGMET 기상 현상이 아닌 것은?
가. 화산재
나. 제트스트림
다. 심한 산악파
다. 열대저기압
REF. 항공정보 메뉴얼 6.1.3
10. 스콜라인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가. 온난전선의 후방에서 발달되는 전선성 기류
나. 적도 근방에서 주로 발달하는 비전선성 기류
다. 한랭전선의 전방에서 발달할 수 있는 비전선성 띠
REF. FAA-H-8083-25C 12-23
11. ADF상의 Relative Bearing이 264도에서 260도로 변화하는데 2분이 경과되었다. TAS 140kt라면 NDB까지의 거리는?
가. 37NM
나. 58NM
다. 65NM
라. 70NM
12. DME의 최대 수신 거리는?
가. 149NM
나. 199NM
다. 249NM
라. 299NM
REF. 항공정보 메뉴얼 5.1.6
13. Localizer 주파수 범위는?
가. 108.0 ~ 111.975MHz
나. 108.0 ~ 119.75MHz
다. 111.975 ~ 119.0MHz
라. 108.1 ~ 119.75MHz
REF. 항공정보 메뉴얼 5.1.8
14. Aft CG에서 안정성과 조종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안정성 감소, 조종성 향상
나. 안정성 증가, 조종성 감소
다. 안정성 감소, 조종성 감소
라. 안정성 증가. 조종성 향상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1.3 항공기 무게중심의 위치와 항공기 성능의 변화
15. 이륙 시 빠르게 가속하는 상황에서 비행기 Nose가 상승하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현상은?
가. Inversion
나. Leans
다. Somatogravic
라. False Horizon
REF. AIM 8-1-5
16. Missed approach 시 Climb gradient로 알맞은 것은?
가. 2.5%
나. 3.0%
다. 3.5%
REF. ICAO doc 8168 chap 7.1.9
17. Instrument Approach에서 DA/MDA 밑으로 내려갈 수 있는 조건을 고르시오
가. 강하율에 상관없이 그 활주로에 착륙하기 위한 강하를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것
나. 비행시정이 해당 계기접근절처에 규정된 시정 이하일 것
다. 조종사가 활주로 관련 시각참조물 중 하나 이상을 확실히 보고 식별할 수 있을 것
라. 조종사가 선행항공기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을 때
REF. 항공법 시행규칙 제186조
18. 고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는 것은?
가. 밀도고도는 기압고도에서 공기의 표준온도를 적용한 고도이다
나. 기압고도는 진고도에서 공기의 비표준 온도를 수정한 고도이다
다. 밀도고도는 기압고도에서 공기의 비표준 온도를 수정한 고도이다
라. 기압고도는 전이고도 아래에서 사용한다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2편 3장 3.2
19. 지면효과를 벗어나는 항공기의 받음각과 유도항력은 어떻게 변하는가?
가. 받음각은 감소하지만 유도항력은 증가한다
나. 둘 다 증가한다
다. 받음각은 증가하고 유도항력은 감소한다
라. 받음각은 동일하고 유도항력은 증가한다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1편 2장 2.2.3
20. 초음속 돌파 시 공기의 속도, 압력, 온도의 변화는?
가. 압력과 온도 그리고 밀도가 급격하게 감소한다
나. 압력과 온도 그리고 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다. 비행기의 속도와 압력, 온도, 밀도는 연관없다
라. 압력과 온도 그리고 밀도가 변하지 않는다.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1편 2장 2.9
21. Wingtip Vortices의 강도가 가장 강한 경우는?
가. 비행기의 중량에 반비례한다
나. 항공기의 중량이 많이 나가고, 일반 외장 상태이며, 저속일 때
다. 항공기의 중량이 많이 나가고, 기체 표면이 깨끗하고, 저속일 때
라. 항공기의 중량이 적게 나가고, 일반 외장 상태이며, 저속일 때
REF. 항공정보 메뉴얼 7.1.3
22. 과호흡 증후군을 일으킬 확률이 높은 것은?
가. 몸에서 과도하게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상황
나. 과도한 알콜 섭취
다. 매우 느린 호흡률과 불충분한 산소
라. 높은 고도에서 산소 보충 없이 비행할 때
REF. AIM 8-1-3
23. 저산소증은 어떤 상태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가?
가. 뇌로 가는 산소의 부족
나. 혈액 내 과도한 이산화탄소 존재
다. 심장 근육으로 가는 산소 제한
REF. AIM 8-1-2
24. 항공기 무게가 감소함에 따라 Maximum range factor 중 어느 것이 감소하는가?
가. AOA
나. Altitude
다. Airspeed
라. Lift
REF. FAA-H-8083-25C 11-9, Range Performance
25. Rectangular Wing의 특징으로 알맞는 것은?
가. 실속이 날개 뿌리에서부터 발생
나. 고속 비행에 최적화 되어 있음
다. 주어진 종횡비에 대한 최소의 유도항력을 제공
라. 실속에서 복귀가 어려움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1편 2장 2.5
26. 30,000ft에서의 유효의식시간은?
가. 10 ~ 30초
나. 30 ~ 1분
다. 1 ~ 2분
라. 2~ 3분
REF. FAA-H-8083-25C 17-4
27. 천음속에서 압력중심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가. 앞으로 이동
나. 속도의 변화에 반응하지 않는다
다. 뒤로 이동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1편 2장 2.9.2
28. Sweepback 비행기와 실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실속이 날개 뿌리에서부터 시작된다
나. 실속이 날개 끝에서부터 시작된다
다. 실속이 날개 중간에서부터 시간된다
라. 실속이 일어나지 않는다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1편 2장 2.9.3
29. 지면효과를 받을 수 있는 고도는?
가. 1/2 Wingspan 높이 이내
나. Wingspan 높이 이내
다. 지면으로부터 50피트 이내
라. 1/4 Wingspan 높이 이내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1편 2장 2.2.3
30. IFR 조건 하에서 지속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갑작스럽게 머리를 움직이게 되면, 전혀 다른 축으로 회전 착각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착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가. Autokinesis
나. Coriolis illusion
다. Lean
라. Somatogravic
REF. AIM 8-1-5
'항공사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12 (0) | 2025.04.03 |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11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9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8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7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