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OTA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NOTAM(D)는 유도로 폐쇄, 활주로나 활주로 근처를 횡단하는 인원과 장비, VASI와 같은 계기 접근 기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공항등화시설 정보를 포함한다
나. AIP는 항공항행에 필수적이지만 일회성을 지난 항공정보를 수록한 책자형태의 간행물로서 일반사항(GEN), 항로(ENR), 비행장(AD) 편으로 구성된다
나. FDC NOTAM은 발간된 계기접근절차(IAP)의 수정, 항공지도의 수정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REF. AIM 5-1-3
2. Flight Plan 작성 시 "L1"은 무억을 의미하는가?
가. RNP4
나. RNP1
다. RNAV 5
라. RNAV 1
REF. FAA Form 7233-4 "International Flight Plan"
3. REIL의 목적으로 알맞는 것은?
가. 야간 또는 저시정 상태에서 활주로를 식별
나. 진입등 시스템이 없는 경우 활주로시단을 식별
다. 착지대의 위치를 식별
라. 이륙 시 활주로 종단을 식별
REF. 항공정보메뉴얼 5.2.3
4. Altimeter Setting 보기 중 맞는 것은?
가. QNH Set 시 지표면으로부터의 실제고도를 지시한다
나. QNE Set 시 해수면으로부터의 실제고도를 지시한다
다. QFE Set 시 지표면에서 0을 지시한다
라. 전이고도 이상으로 상승시에는 QFE, 미만으로 하강시에는 QNH로 Set 한다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3.2
5. 실속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틀린 것은?
가. 비행기의 총 무게
나. 하중계수
다. 무게중심의 위치
라. 공기밀도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2장
6. 실속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가. 무게, 하중계수, 받음각
나. 무게, 하중계수, 동력
다. 무게, 동력, 받음각
라. 무게, 무게중심의 위치, 받음각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2장
7. Lateral Stability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것은?
가. Dihedral
나. Sweepback
다. Vertical Stabilizer
라. Keel Effect
REF. FAA-H-8083-25C 5-17
8. 고성능 날개의 Leading Edge Slat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
가.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에서 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 낮은 받음각에서 에일러론 조작 능력을 향상시킨다
다. 앞전 아래의 고기압 공기를 날개 위쪽으로 유도한다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1.2.3
9. "Drag rise"는 보통 언제 일어나는가?
가. 임계마하수보다 5 ~ 10% 높은 경우
나. 임계마하수보다 2 ~ 3% 높은 경우
다. 임계마하수에 도달한 경우
10. 15,000ft 고도에서 기온이 -20˚C일 때, 알 수 있는 것은?
가. 고도계는 온도변화에 대해 자동으로 보정된다
나. 고도계는 진고도보다 높게 표시된다
다. 고도계는 진고도보다 낮게 표시된다
REF. FAA-H-8083-25C 8-4
11. TCAS에서 제공하는 Resolution Advisory(RA) 후 바른 행동은?
가. ATC 레이더 상에 잡히는 상황에서 편차가 있는 항로와 고도를 유지한다
나. 새로운 ATC 클리어런스를 요청한다
다. 충돌 위험이 사라진 후, RA 이전의 ATC 클리어런스로 신속히 복귀한다
REF. AIM 4-4-16
12. Taxing 시 지상에서 트랜스폰더를 작동해야 하는 시기는 언제인가?
가. ATC가 특별하 트랜스폰더 활성화를 요청할 때만 작동한다
나. 공항이 IFR로 운영될 때마다 작동해야 한다
다. ASDE-X가 있는 공항에서는 항상 작동해야 한다
REF. AIM 4-1-20
13. MEL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항공기 MEL은 운항 전 항공기 장비나 계통에 결함이 발생하였을 경우 출발 허용 여부 결정을 도와주는 기준서이다. 최종출발의 결정은 정비사와 상의하여 PIC가 결정한다
나. 수리 또는 교환 가능한 공항에서는 결함 교정을 수행함이 원칙이나, 결함 사항을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MEL을 따라서 절차를 완전히 수행한 이후에 이를 적용하여 출발할 수 있다
다. 비행 중 부가적으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 비행 안전유지의 가능여부를 모든 관련자들이 판단하여야 하며 고장이 난 상태로 비행을 계속해서는 안되며 지정된 장소와 시기에는 결함을 해소하여야 한다
라. 출발을 위해서 Door Close 이후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는 MEL이 적용되지 않는다
REF. 조종사 표준교재(비행이론) 3.3.3
14. 항공기 접근범주를 분류할 때 항공기의 Vref가 정해져 있지 않으면 어떤 속도를 기준으로 하는가?
가. 이륙형상 실속 속도의 1.3배
나. 이륙형상 실속 속도의 1.8배
다. 착륙형상 실속 속도의 1.3배
라. 착륙형상 실속 속도의 1.8배
REF. 항공정보 메뉴얼 3.4.4
15. ILS Critical Area Boundary Sign의 색깔은?
가. 적색바탕 흰색문자
나. 노랑색 바탕 검은색 문자
다. 검은색 바탕 노란색 문자
라. 검정색 바탕 흰색 문자
REF. 항공정보 메뉴얼 5.5.5.나
16. Wind Shear 조우 시 가장 먼저 반응하는 계기는?
가. ASI
나. Altimeter
다. VSI
라. Attitude Indicator
REF. FAA-H-8083-15B 10-25
17. 다음 조건을 참고했을 때 추가로 탑재 가능한 연료량은 얼마인가?
AGTOW = 190,000kg
TOW = 187,500kg
현재 항공기에 탑재된 연료량 : 4,000kg
연료 Tank 용량 = 7,000kg
가. 2,000kg
나. 2,500kg
다. 3,000kg
라. 3,500kg
18. MSA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장애물과 항법신호를 둘 다 보장한다
나. 반경 25NM 범위 내의 장애물로부터 1,000ft 이상의 회피를 제공한다
다. 비상 시 사용을 위한 고도이다
라. 4개의 Sector로 구분 가능하다
REF. 항공정보 메뉴얼 3.4.3.다
19. Procedure Turn의 최대 속도는?
가. 230kts
나. 210kts
다. 200kts
라. 180kts
REF. 항공정보 메뉴얼 3.4.6.6
20. PAR Approach 중 Lost Communication 시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는 무엇인가?
가. 10NM 5초
나. 10NM 10초
다. 10NM 30초
라. 10NM 45초
REF. 항공교통관제절차 5-10-4
21. 정밀접근방식에서 활주로 관련 시각참조물이 아닌 것은?
가. 활주로 시단
나. 접지구역 등
다. RWY Centerline Light
라. 활주로 표지
REF.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181조
22. 다음 설명 중 COP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가. 양방향 VOR에서부터 각각의 mileage가 표시된다
나. 항시 두 VOR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다. 항행유도의 상실 및 다른 시설과의 주파수 간섭을 방지한다
REF. 항공정보메뉴얼 3.3.5
23. Departure Procedure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DP는 공항에서부터 En-route까지 항공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절차이다
나. DP의 주된 목적은 IMC 상황하에 있는 출발 항공기에게 충분한 Obstacle Clearance를 제공함에 있다
다. DP는 바쁜 공항에서 조종사와 ATC간의 통신을 줄이고 출발지연을 줄임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항공기 출발을 가능하게 한다
라. DP의 최소 Climb gradient는 500ft/NM이고 더 큰 상승률을 요할 시에는 해당 DP 차트에 박스로 별도 표시된다
REF. ICAO-8168 Part 2. Section 2
24. 양방향 무선통신 고장 시 조종사가 선택해야 하는 비행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최종적으로 통보받은 ATC허가에서 배정된 비행로를 따라 비행
나. 레이더 유도되고 있는 경우에는 비행계획서에 기재한 비행로 중 현재 위치한 지점에서 가장 근접한 비행로를 따라 비행
다. 비행로를 배정받지 않은 경우에는 ATC로부터 추후허가 예정을 통보받은 비행로를 따라 비행
REF. 항공정보 메뉴얼 4.4.1
25. SLOP (Strategic Lateral Offset Procedure)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가. ATC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
나. 항로 중심에서 우측으로 1 ~ 2NM Offset 하여 비행한다
다. 모든 공역에서 실시할 수 있다
라. 500ft 상승/하강하는 절차이다
REF. FAA AIP ENR 7.1.8
26. Fly-over Waypoint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가. Waypoint 지점 상공 통과 후 선회를 시작하여 다음 진로로 이동한다
나. Waypoint에 도달하기 전 예상선회하여 다음 진로로 이동한다
다. Waypoint에 도달하기 전 예상선회하여 다음 Waypoint로 이동한다
REF. 항공정보 메뉴얼 5.3.1
27. 표준계기도착절차 중 Descend via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가. 이전에 발부된 고도 제한은 무효화되나 속도제한은 유효하다
나. ATC 승인 없이 차트에 표기된 제한고도와 절차에 따라 하강 가능하다
다. ATC에 의해 강하를 계속하라는 허가를 받을 때까지 이전에 발부된 고도를 유지한다
REF. 항공정보 메뉴얼 3.4.1
28. Void Time에 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가. 비관제 공항에서 조종사는 주어진 시간까지 이륙해야 한다
나. 비관제 공항에서 조종사는 주어진 시간까지 이륙활주해야 한다
다. 비관제 공항에서 조종사는 발부받은 시간 이후에 이륙해야 한다
라. 비관제 공항에서 조종사는 발부받은 시간 이후에 이륙하지 못할 시 30분 단위로 연장 가능하다
REF. 항공정보 메뉴얼 3.2.6
29. 항공기 사고 시간에 대한 기준으로 맞는 것은?
가. 항공기가 움직인 시점부터 멈춘 시점
나. 항공기의 문이 닫힌 시점부터 발동기가 정지하기까지의 시점
다. 항공기가 움직인 시점부터 발동기가 정지하기까지의 시점
라. 비행을 목적으로 항공기에 탑승하였을 때부터 모든 사람이 항공기에서 내릴 때까지
REF. 항공안전법 제6조
30. 다음 중에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항공기의 비행을 금지 또는 제한할 필요가 있는 공역은?
가. 관제공역
나. 주의공역
다. 통제공역
라. 비행금지공역
REF. 공역관리규정 제6조
'항공사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11 (0) | 2025.04.03 |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10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8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7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6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