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ather

[Weather] Windshear

반응형

윈드시어 (Windshear)

 

1. 정의

 

윈드시어(Windshear)는 짧은 거리 또는 시간 내에 풍향 또는 풍속이 급격히 변하는 현상. 단위 거리 당 풍향과 풍속이 변화하는 비율에 따라 Windshear 강도를 결정


2. 발생원인

 

- Temperature Inversion Layer (기온역전층) : 고도가 올라감에 따라 온도가 올라가는 Temperature inversion layer에서는 열적평형을 이루기 위해 대류가 순환하면서 windshear를 발생시킴. 역전층을 상층과 하층으로 나누어 보면 역전층 아래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는 팽창하여 상승하게되고 역전층 상층의 상대적으로 찬 공기는 수축하여 하강하게 됨. 특히 역전층 상층 공기가 역전층 하층 공기보다 더 활발하게 작용하므로 역전층 상층에서 더 강한 windshear가 발생

Temperature inversion layer

 

- Frontal zone (전선면) : 한랭전선과 온난전선의 경계에서의 큰 온도차는 공기의 흐름을 가속화하여 열적평형을 이루기 위해 활발해지고, 이로 인해 windshear 발생


발생 조건 :
- 지상에서 전선 양측의 온도 차이가 5°C(10°F) 이상일 때
- 전선 이동 속도가 30노트 이상일 때

위험성 :

한랭전선(Cold Front)이 특히 심각한 윈드시어를 유발
접근(Approach) 시 갑작스러운 항공기 속도 변화 유발

 

- Thunderstorm zone, Strong vertical circulation : Thunderstorm 발생 지역은 공기의 상승 및 하강 기류가 매우 활발하기 때문에 windshear를 동반, CB가 관찰된다면 강한 windshear를 동반하고 있다는 증거이므로 회피 필요. 다운버스 (Downdraft) & 마이크로버스트 (Microburst)가 이에 해당.

 

- CAT (Clear Air Turbulence) : CAT도 Windshear의 일종으로 Jetstream이 발생하는 곳에서 주로 발견되며 공기의 수직 수평 이동이 매우 활발하고 빠르기 때문에 발생. Jetstream의 강도가 강해지는 겨울에 더 많이 발생. CAT은 주로 Jetstream의 trough or ridge에서 발생하므로 이 지역을 통과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함.

반응형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상] Eddy Dissipation Rate  (0) 2025.03.13
[항공기상] Icing  (0) 2025.03.13
[항공기상] Jetstream  (0) 2025.03.13
[항공기상] Turbulence  (0) 2025.03.13
[항공기상] Fronts  (0)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