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ing
가. 정의 및 생성조건
- 항공기 외부에 얼음이 축적되는 현상
- Icing의 생성 조건 : 눈으로 식별 가능한 과냉각 수적, 대기온도 및 항공기 표면의 온도가 0˚C 이하
- 과냉각된 물은 물질과 충돌하면 어는 성질이 있는데, Icing 또한 과냉각 수적이 항공기에 충돌하여 발생
나. Icing의 종류
ⓐ Structural Icing : 항공기 날개나 동체 표면에 발생
강도
|
내용
|
Clear
|
|
Frost
|
|
Rime
|
|



ⓑ Induction Icing : 공기 흡입부와 같이 압력이 급강하하는 지점에서 발생
- Carburetor Icing : Carburetor의 Venturi nozzle에서 압력 강하로 인해 발생
- Intake Icing : 항공기 전면 공기 흡입부의 압력 강하로 인해 발생
ⓒ Instrument Icing
- 피토관 입구 혹은 Static Port에 Icing이 생겨 계기 지시값 신뢰성이 떨어짐
- 외부 안테나에 Icing이 생길 경우 안테나 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진동을 유발시켜 COM & NAV 성능 저하
다. Icing 강도 구분
강도
|
내용
|
Trace
|
인지할 수는 있지만 누적율과 승화율이 거의 균형을 이룸
|
Light
|
일시적인 De-icing 장치 사용 필요. 그렇지 않으면 1시간 이상 오래 노출 시 문제 발생
|
Moderate
|
계속적인 De-icing 장치 사용 필요. 그렇지 않으면 짧은 시간 노출에도 위험
|
Severe
|
Icing 축적률이 높아서 De-icing 장비로도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하기 힘든 단계
|
라. Icing 발생 시 항공기에 미치는 영향
- 날개 착빙 시 유선형 모양이 흐트러져 양력 감소, 항력 증가
- 착빙에 의한 항공기 중량 증가
- Induction Icing은 FOD 원인 및 공기 공급 차단으로 인한 추력 감소로 이어짐
- Windshield 착빙 시 전방 시계방해
- 지상에서 항공기 조작에 방해
- Instrument Icing 시 계기 및 라디오장비 성능 저하
- 프로펠러 착빙 시 떨림현상 발생

마. Icing 발생 시 대처요령
지상
|
공중
|
|
|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상] Eddy Dissipation Rate (0) | 2025.03.13 |
---|---|
[항공기상] Jetstream (0) | 2025.03.13 |
[항공기상] Turbulence (0) | 2025.03.13 |
[항공기상] Fronts (0) | 2025.03.13 |
[항공기상] Typhoon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