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ather

[항공기상] Typhoon

반응형

태풍

가. 정의

- 북태평양 부근 (위도 5 ~ 25˚)에서 발생하며, 중심권 최대풍속이 17m/s(34kts) 이상인 열대저기압

- 반경 200 ~ 800km, 높이 약 13km

-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북위 5 ~ 20˚, 동경 120 ~ 160˚ 해역에서 연중 발생 (주로 7 ~ 10월에 많이 발생)

 

나. 태풍의 구분

- 중심권 최대풍속에 따라 약한 열대저기압, 열대폭풍, 강한 열대폭풍, 태풍으로 구분

- 우리나라와 일본은 중심권 최대풍속이 17m/s(34kts) 이상이면 태풍으로 분류

중심부근
최대풍속
17m/s (34kts) 미만
17 ~ 24m/s
(34 ~ 47kts)
25 ~ 32m/s
(48 ~ 63kts)
33m/s (64kts) 이상
세상기상기구
약한 열대저기압
열대 폭풍
강한 열대폭풍
태풍
한국 & 일본
약한 열대저기압
태풍

다. 태풍의 구조와 특성

- 태풍의 눈 : 직경 20 ~ 50km, 구름이 없고 Wind Calm, 공기가 하강함

- 태풍눈의 벽 : 태풍의 눈을 둘러싸고 있는 뇌우고리, 구름 높이 12 ~ 20km. 가장 강한 바람과 많은 비, 최악의 난류가 이 부분에서 나타남

- 기압은 중심부가 가장 낮고 반경 방향을 따라서 상승

- 풍속은 태풍 눈의 벽에서 최대였다가 반경 방향을 따라서 약해짐

- 등압선이 거의 동심원이며 전선을 동반하지 않는 것이 특징

- 태풍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왼쪽이 가항반원, 오른쪽이 위험반원 (좌가오위)

 

라. 태풍의 발생조건

- Coriolis Force에 의한 공기의 회전이 있어야 구름이 발생하고 기압이 떨어짐 (Coriolis Force 효과가 미미한 적도 ±5˚ 부근에서는 발생 X)

- 해수면 온도는 보통 26˚C 이상이어야 함

- 공기가 따뜻하고 수증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불안정해야함

- 태풍은 온난 다습한 공기를 에너지원으로 하며, 육지에 상륙한 후에 급격히 약화됨

 

반응형

'Wea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상] Turbulence  (0) 2025.03.13
[항공기상] Fronts  (0) 2025.03.13
[항공기상] Microburst  (0) 2025.03.13
[항공기상] Thunderstorm  (0) 2025.03.13
[항공기상] Fogs  (0)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