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수평 선회 상태에서 FLAP 사용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가. 내려온 FLAP은 항공기 STALL속도를 증가시킨다.
나. FLAP을 올리면 항공기 STALL속도가 증가된다.
다. FLAP을 올리게 되면 항공기 조종간을 밀어야 되는 현상이 생긴다.
라. FLAP을 내리게 되면 항공기 속도가 순간 증가한다.
2. 항공기 날개 윗부분을 덮고 있는 서리는 항공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가. 항공기를 보다 더 높은 AOA에서 STALL에 진입하게 한다.
나. 항공기를 보다 더 낮은 AOA에서 STALL에 진입하게 한다.
다. 항력이 커져서 이륙을 위한 충분한 속도를 얻지 못하게 함.
라. 양력 증가로 인해 더 적은 속도에서 이륙하게 한다.
3. 최대 양항비를 나타내는 속도 이하에서 수평비행 중, 속도가 감소되면 전체 항력은 어떻게 되는가?
가. 적은 유해항력 때문에 감소한다.
나. 증가된 유도항력 때문에 증가한다.
다. 증가된 유해항력 때문에 증가한다.
라. 감소된 유도항력 때문에 감소한다.
4. GROUND EFFECT 내에서 GROUND EFFECT를 벗어났을 때와 동일한 AOA을 유지한다면 어떠한 현상이 생기는가?
가. 양력은 증가하고, 유도항력은 감소한다.
나. 양력은 감소하고, 유해항력은 증가한다.
다. 양력은 증가하고, 유도항력은 증가한다.
라. 양력은 감소하고, 유해항력은 감소한다.
5. Wingtip Vortex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보시오.
6. 만일 연료소모량이 시간당 80 LBS이고 GROUND SPEED 가 180 KTS라면 460 NM을 비행하는 데 얼마나 많은 연료가 필요한가?
가. 205 LBS
나. 212 LBS
다. 350 LBS
라. 460 LBS
7. 040 RADIAL로 INBOUND 하면서, 조종사는 055 RADIAL을 선택하고 좌측으로 15도 TURN을 한 다음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했다. HEADING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CDI가 Center로 오는 데 걸린 시간이 15 분이었다. 이 경우, Station까지의 ETE 는 얼마인가?
가. 7.5 분
나. 8 분
다. 15 분
라. 30 분
8. 당신은 52 NM을 비행했고, 현재 Course 로부터 6 NM 벗어났으며, 앞으로 118 NM을 비행해야 한다. 목적지에 도착하려면 총 몇 도의 각도를 수정해야 하는가?
가. 3 도
나. 6 도
다. 10 도
라. 12 도
9. 60마일이 떨어져있는 항공기의 VOR수신기의 CDI가 1/5만큼 벌어져 있다. 이것은 중심선으로부터 얼만큼 떨어져 있음을 표시하는 것인가?
가. 6마일
나. 5마일.
다. 4마일
라. 2마일
10. TRANSPONDER CODE가 7500, 7600, 7700 인 경우 각각에 대하여 설명해 보시오.
11. 많은 공항에 설치되어 있는 REIL 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 )
가. 저 시정 상황에서 접근활주로의 끝을 빨리 식별하기 위함
나. 이륙 시 혹은 접근위치에서 보았을 때 잔여활주로가 3,000 FT 남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함
다. 저 시정 상황에서 주요 활주로의 빠른 식별을 위함
라. taxiway 끝을 알리기 위함
23. PITOT TUBE와 DRAIN HOLE 이 막힌 후 상승하기 위해 출력을 증가시켰다면 속도계에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는가?
가. 상승동안 속도계는 지속적인 감속을 지시한다.
나. 속도계는 감소하여 0 을 지시한다.
다. 변화하지 않는다
라. 상승률이 안정화될때 까지는 변화가 없다가, 그 후 증가된다.
24. 6,500feet에서 고도 수정치가 30.42“Hg이다. 기압고도는 얼마인가?
가. 7,500feet
나. 7,000feet
다. 6,500feet
라. 6,000feet
25. QNH와 QFE를 비교하여 설명해 보시오
26. ROUTE상의 NAVIGATIONAL SIGNAL COVERAGE와 OBSTACLE CLEARANCE REQUIREMENTS를 충족 시켜주는 고도를 MINIMUM ( )라 일컫는다. 다음 내용에 들어가야 할 사항으로 적절한 것은?
가. OBSTACLE CLEARANCE ALTITUDE
나. RECEPTION ALTITUDE
다. CROSSING ALTITUDE
라. ENROUTE ALTITUDE
27. 산악지형이 아닌 곳에서 다음 고도한계(MAA, MCA, MRA, MOCA, MEA) 모두를 보장하는 조건은 무엇인가?
가. 정확한 항법신호
나. 무선 통신 범위
다. 1000ft 장애물 통과
라. 2000ft 장애물 통과
28. 조종사가 얼마의 속도변화시 ATC 에게 보고해야하는가?
가. GAS가 5노트 이상 변할 때
나. 평균 TAS가 5% 나 10노트 중 더 크게 변할때
다. GAS가 10MPH 이상 속도가 변할때
라. 속도가 10%이상 변할 때
29. ATC가 VISUAL APPROACH를 허가하기 위해서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가?
가. 앞서가는 항공기를 보고 있어야하며 VFR 기상조건을 유지하여야 한다.
나. 공항과 앞서가는 항공기를 보아야 한다.
다. 공항을 보고 있거나 앞서가는 항공기를 보고 있어야하며, 공항까지
도착하는데 VFR 기상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라. 앞서가는 항공기를 보고 있어야하며 시정 3NM을 유지해야 한다.
30. RVSM에 대하여 설명해 보시오.
31. 저산소증은 다음 중 어떤 상태의 결과인가?
가. 혈류속의 과다한 산소
나. 뇌로 가는 부족한 산소
다. 혈류속의 과다한 이산화 탄소
라. 빠른 호흡
32. 과호흡 증후근(Hyperventilation)이 짐작되면 어떠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가. 의식적으로 정상정인 호흡보다 더 천천히 호흡한다.
나. 매우 깊은 호흡을 하면서 호흡률을 더 낮춘다.
다. 의식적으로 깊은 호흡을 하도록 강요하고 정상호흡보다 더 빨리 호흡한다.
라. 호흡을 얕게 하고 정상호흡보다 빨리 호흡한다.
33. 조종사는 어떤 상황에서 비행착각에 더 잘 들어가는가?
가. 신체 신호가 비행 자세를 해석하는 데 사용될 때.
나. 운동감각들이 무시될 때.
다. 비행계기들을 크로스 체크하는 과정에서 눈을 자주 움직일 때.
라. 고개를 빠른 속도로 좌우로 돌리지 않고 고정된 채 계기를 체크할 때.
4. 시각적 착각으로 인해 평소보다 좁은 활주로에 착륙할 때 어떤 현상이 발생하나?
가. 실제보다 높게 보이고 낮은 접근이 이루어지게 한다.
나. 실제보가 낮게 보이고 높은 접근이 이루어지게 한다.
다. 실제보다 높게 보이고 높은 접근이 이루어지게 한다.
라. 실제보다 낮게 보이고 낮은 접근이 이루어지게 한다.
41. 다음 중 항공기내에 비치해야 할 서류와 관계없는 것은?
가. 예비품 증명서
나. 감항증명서
다. 소음기준적합증명서
라. 운용한계지정서
42. 다음 중 항공안전 무선설비의 종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가. 무지향표지시설(NDB)
나. 계기착륙시설(ILS/MLS/TLS)
다. 레이다시설(ASR/ARSR/SSR/ARTS/ASDE/PAR)
라. 자동방향탐지시설(ADF)
43. 항공법에서 규정하는 야간의 의미는?
가. 일몰 1시간 전부터 일출 1시간 후까지
나. 일몰 30분 전부터 일출 30분 후까지
다. 일몰부터 일출까지
라. 일몰 30분 후부터 일출 30분 전까지
44. 항공운송사업에 사용되는 항공기가 교체비행장을 지정해야 할 경우가 아닌 것은?
가. 출발비행장의 기상상태가 비행장운영최저치 미만일 때 이륙교체비행장
나. 쌍발항공기의 1개 발동기 고장 시 순항속도로 가장 가까운 공항까지
1 시간을 초과하는 지점이 있는 노선을 운항하는 경우에는 항로교체비행장
다. 계기비행방식으로 비행하려는 경우 1개 이상의 목적지 교체비행장
라. 최초 착륙예정 비행장의 기상상태가 도착 예정시간에 양호해질 것이 확실시
되는 경우 1개 이상의 목적지 교체비행장
45. 항공법 기준으로 조종사의 최근의 비행경험 제한치에 대하여 설명해 보시오.
46. anti-collision light system이 요구되어 지는 때는 언제인가?
가. 모든 운용시간 동안
나. 조종사에 cockpit내에 있는 동안
다. engine이 가동 시
라. 야간에 taxing 하는 동안
47. 다른 항공기와 충돌코스상에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가. 다른 항공기의 기수가 같은 지점에서 보인다.
나. 다른 항공기는 언제나 빠른율로 커지고 가까워 보인다.
다. 상대 항공기가 내 비행기로 상승해 오는 듯 보인다.
라. 내 항공기와 다른 항공기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어 보인다.
48. 다음 중 MEA에 대해서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은?
가. OBSTACLE CLEARANCE REQUIREMENTS를 충족하고, 수신 가능한 항법 신호 범위를
확보해 줄 수 있는 가장 낮게 명시된 고도
나. 장애물 통과필수조건을 충족하고, 수신 가능한 항법 신호 범위와 쌍방향무선
통신을 확보해 주는 가장 낮게 명시된 고도
다. 장애물 통과필수조건을 충족하고, 수신 가능한 항법 신호 범위, 쌍방향무선
통신, 적절한 레이더 범위, 그리고 정확한 DME 거리를 확보해 주는 가장 낮게
명시된 고도
라. 장애물 통과필수 조건을 충족하고, 쌍방향 무선통신을 확보해 주는 가장 낮게
명시된 고도
49. ILS 접근을 위해서 레이더 유도를 받고 있던 중 접근 인가를 받았다. 관제사가 최종적으로 지정한 고도는 언제까지 유지 되어야 하는가?
가. FAF에 도달할 때까지
나. 강하를 시작하라는 ATC 지시가 있을 때까지
다. IAP 또는 Published Route 구간에 Established 되었을 때
라. 접근 인가를 받을 때까지만
50. ILS Critical Area에서 차량 및 항공기가 진입할 수 없는 기상조건에 대하여 설명해 보시오
'항공사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6 (0) | 2025.04.03 |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5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4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3 (0) | 2025.04.03 |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2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