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사 기출문제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2

반응형

1. 다음중 성격이 다른 것을 고르시오.

가. ILS

나. LDA

다. TLS

다. APV

 

2. 다음중 APPROACH CHART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은?

 

가. ICAO 공항식별

나. IATA 공항식별

다. THRESHOLD HEIGHT

라. RUNWAY 길이

 

3. 모든 항공운송업자 및 항공종사자가 준수해야 할 기준 – 운항기술기준

 

4. 사업용조종사의 응시경력으로 틀린 것을 고르시오

가. 200시간이상 비행

나. 100시간 기장으로서 비행

다.기장 20시간 야외비행

라. 10시간 기장 외의 비행

 

5. 사고 예방 장치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가. 공중충돌장치

나. 지상접근경고장치

다. 비행기록장치

라. 전방돌풍경고장치

 

6. 다음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가. 승무시간 – 운항승무원이 비행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비행기에 탑승하여 이륙을 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때부터 최종적으로 비행기가 정지한 때까지의 총 시간

나. 비행근무시간 – 운항승무원이 비행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항공 운송사업자나 항공 사용사업자가 지정한 장소에 출두한 시간부터 1개 또는 2개구간 이상의 비행은 종료한 후 디브리핑 시간까지의 비행 준비시간, 지상 또는 기내 휴식시간을 포함한 총 시간을 말한다.

다. 기장 1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 최대 비행근무시간 17시간, 연속 13시간

라. 기장 2명, 기장 외의 조종사 2명 – 최대근무시간 20시간, 연속 16시간

 

7. 다음 중 항공종사자 자격이 박탈되는 조건을 고르시오.

 

가. 무자격 계기비행

나. 승무원등을 탑승시키지 않은 죄

다. 자격정지 기간 중 항공업무에 종사한 사람

라. 자격증명을 받지않고 항공업무에 종사한 사람

 

8. pitot tube가 막혔을 경우 영향을 받는 계기는

 

가. 속도계

나. 고도계

다. 승강계

라. 자세계

 

9. 항공기의 성능을 결정하는 고도는

 

가. 기압고도

나. 밀도고도

다. 절대고도

라. 진고도

 

10. LOC 지시범위가 10°까지인 거리

 

가. 10NM

나. 15NM

다. 18NM

라. 20NM

 

11. VASI의 야간 식별거리는?

 

가. 5NM

나. 10NM

다. 15NM

라. 20NM

 

12. 계기접근 구간 중 항공기 최종접근을 위해 외장을 조정해야 하는 구간은?

 

가. Initial approach segment

나. Intermediate segment

다. Final approach fix

라. Feeder route

 

13. 다음 transponder code가 아닌 것은?

 

가. 7700

나. 7600

다. 7500

라. 7400

 

14. 다음 TAF 변화군 중 틀린 것은?

 

가. FM – 1시간이내 급격히 변하는 기상현상 예상시

나. BECMG – 약 2시간 이내의 기상변화 예상시

다. TEMPO – 1회 지속시간이 1시간 미만

라. PROB – 발생확률이 30%이하일 경우만 사용

 

15. JEPPESEN Airway manual nav data 발간 주기는?

 

가. 7일

나. 14일

다. 28일

라. 56일

 

16. 다음 중 Precision approach 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ILS

나. JPAL

다. PAR

라. APV

 

17. 다음 중 approach chart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가. Plan view

나. Approach view

다. Profile view

라. Landing minimum

 

18. 다음 고도 중 minimum 을 나타내는 고도가 아닌 것은?

 

가. MAA

나. MCA

다. MOCA

라. MEA

 

19. 다음 내용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은?

 

가. Transition Altitude 와 Transition level 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나. Transition Altitude 와 level 은 approach chart 또는 ATC를 통해 알 수가 있다

다. Trnsition Level이 Transition Altitude 보다 항상 같거나 높은 것은 아니다

라. Transition Altitude 와 Level 은 Altimeter setting 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0. 고도 18,000피트 아래에서 (L) 등급의 VOR 정상 가용범위는?

가. 25NM

나. 40NM

다. 130NM

라. 100NM

 

21. 다음은 ILS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설명은?

 

가. Localizer Signal 의 유효 coverage는 안테나로부터 20NM 이다.

나. Approach Clearance 를 받고 LOC에 capture 되기 전 G/S이 먼저 On Glide Path 될 경우 LOC가 1 Dot 이내에 있을 때 강하할 수 있다.

다. Glide slope은 Runway로부터 15NM 까지 사용이 가능하나, 일부 지역에서는 그 이상으로도 가능하다.

라. 모두 맞다.

 

22. 다음중 GPS augmentation system이 아닌 것은?

가. ABAS

나. ACAS

다. SBAS

라. GBAS

 

23. 다음 중 기상현상의 대부분이 일어나는 대기권은 어디인가?

 

가. 성층권

나. 열 권

다. 대류권

라. 상층권

 

24. 다음 안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통상 시정이 1km 이하이다.

나. 대기 중에 응결을 촉진시키는 응결 핵이 존재해야 된다.

다. 외부에서 많은 수증기의 공급

라. 모든 안개는 바람이 없는 고요한 밤에 생성된다.

 

25. 다음 중 안개의 종류가 아닌 것은?

 

가. 복사무

나. 증기무

다. 상승무

라. 활승무

 

26. RADAR 관제 하에서 필수 보고를 해야 하는 상황이 아닌 것은?

 

가. 최소 500fpm 으로 상승, 강하를 할 수 없을 때

나. 비행 계획서에 기재한 속도보다 TAS가 5% 10노트 중 많은 것이 변화될 때

다. 실패 접근 시

라. 최종 접근 지점(FAF)를 떠날 때

 

27. 항공안전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으로 바르게 서술한 것을 모두 고르시오.

 

가. 관제구란 비행장 또는 공항과 그 주변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 공고한 공역을 말한다.

나. 관제권이란 지표면 또는 수면으로부터 200미터 이상 높이의 공역으로서 항공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정 공고한 공역을 말한다 .

다. 계기비행이란 항공기의 자세 고도 위치 및 비행방향의 측정 항공기에 장착된 계기에만 의존하여 비행하는 것.

라. 객실승무원이란 항공기에 탑승하여 비상시 승객을 탈출 시키는 등 승객의 안전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말한다.

 

28. 항공기의 손상 파손 및 구조상의 결함을 잘못 서술한 것을 고르시오

 

가. 항공기에서 발동기가 떨어져 나간 경우

나. 발동기의 덮개 또는 역추진장치 구성품이 떨어져 나가면서 항공기를 손상시킨 경우

다. 압축, 터빈블레이드 및 그 밖에 다른 발동기 구성품이 발동기 덮개를 관통한 경우 발동기의 배기구를 통해 유출된 경우

라. 레이돔이 파손되거나 떨어져 나가면서 항공기의 동체 구조 또는 시스템에 중대한 손상을 준 경우

 

29. 항공기의 손상 파손 및 구조상의 결함을 잘못 서술한 것을 모두 고르시오

 

가. 항공기 내부의 감압 또는 여압을 조절하지 못하게 되는 구조적 손상이 발생한 경우

나. 항공기준사고 또는 항공안전장애 등의 발생에 따라 항공기를 점검한 결과 심각한 손상이 발견된 경우

다. 비상탈출로 중상자가 발생했거나 항공기가 심각한 손상을 입은 경우

라. 덮개와 부품을 포함하여 한 개의 발동기의 고장 또는 손상

 

30. 항공기 준사고의 범위를 잘못 서술한 것을 모두 고르시오

 

가. 항공기의 위치, 속도 및 거리가 다른 항공기와 충돌위험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는 근접비행이 발생한 경우

나. 다른 항공기와 거리가 500미터 미만으로 근접하였던 경우

다. 항공기가 초기 상승단계 이전 또는 최종 접근단계 이후의 정상적인 비행 중 지표, 수면 또는 그밖의 장애물과의 충돌을 가까스로 회피한 경우

라. 항공기, 차량, 사람 등이 허가 없이 또는 잘못된 허가로 항공기 이륙 착륙을 위해 지정된 보호구역에 진입하여 다른 항공기와 충돌할 뻔 한 경우

 

31. THL is the acronym for

 

가. Takeoff hold lights

나. Taxi holding lights

다. Terminal holding lights

라. Taxi hold line

 

32. 다음 설명 중 CO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고르시오

 

가. COP는 인루트상 양측 VOR중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VOR signal을 보장한다.

나. COP에는 양방향 VOR에서부터 각각의 mileage가 표시된다.

다. COP는 midpoint 또는 turning point에서 생략될 수 있다.

라. COP는 항시 두 VOR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33. 온도 용어 중 약어 설명이 틀린 것을 고르시오

 

가. SAT(standard air temperature)

나. OAT(outside air temperature)

다. TAT(total air temperature)

라. RAT(ram air temperature)

 

34. 방사선 투사량 계기를 장착해야 하는 고도는?

 

가. 45,000피트 이상

나. 38,000피트 이상

다. 15,000미터 이상

라. 10,000미터 이상

 

35. Circling approach 고도는 어떤 고도를 기준으로 하는가?

 

가. HAA

나. HAT

다. MDA

라. DA

 

36. ICAO 기준 aiming point 거리는?

 

가. 1000ft

나. 500ft

다. 1500ft

라. 정답 없음

 

37. Relative bearing 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

 

1. Magnetic north

2. True north

3. Heading

4. Course

 

38. 정밀접근 활주로의 Approach light system 의 길이는?

 

가. 2,700~3,000ft

나. 900ft

다. 1000m

라. 150m

 

39. 비산악지형 계기비행 최저고도는 얼마인가?

1. 반경 8km 내에서 300미터 (4NM 내 1,000ft)

2. 반경 8km 내에서 600미터

3. 반경 8NM 내에서 300미터

4. 반경 8NM 내에서 600미터

 

40. Vor 점검에 관하여 틀린 것은?

 

가. Dual vor +-4

나. VOT +-4

다. 지상점검 +-6

라. 공중점검 +-6

 
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41. (위 Fig 참고) Jeppesen Chart에서 18번이 의미하는 것은?

 

가. Prohibited area

나. Restricted area

다. Construction area

라. Paved area

 

42. (위 Fig 참고) Jeppesen Chart에서 11번이 의미하는 것은?

가. RVR measuring site (Transmissometer로 측정)

나. Airport beacon

다. Wind indicator

라. Lighted pole

 

43. (위 Fig 참고) Jeppesen Chart에서 13번이 의미하는 것은?

 

가. Permanently closed taxiway

나. Permanently closed runway

다. Temporarily closed taxiway

라. Temporarily closed runway

 

44. (위 Fig 참고) Jeppesen Chart에서 7번이 의미하는 것은?

가. Displaced threshold

나. Jet barrier

다. Stopway

라. ALS

 

45. Flight plan 제출 시 830km/h로 비행하려는 속도를 제출하려고 할 때 알맞은 표기는?

 

가. K0830

나. K830

다. K083

라. K0083

 

46. Flight plan에 인원을 기재할 때 어느 인원을 계산해서 기입하는가?

 

가. 승객 전원

나. 승무원 전원

다. 승객과 승무원을 포함한 전원

라. 모두 아니다

 

47. Flight plan에 연료를 기재할 때 어떻게 계산해서 기입하는가?

 

가. kg 단위로 기입

나. lbs 단위로 기입

다. 분 단위로 기입

라. 시간과 분 단위로 기입

 

48. Flight plan의 Flight type에서 정기항공을 뜻하는 것은?

 

가. S

나. N

다. G

라. X

 

49. Flight plan의 IFR 선행 후 VFR 비행을 의미하는 글자는 무엇인가?

 

가. V

나. I

다. Y

라. Z

 

50. Flight plan의 A/ 에는 무엇을 기입하는가?

 

가. Aircraft color and shape

나. Aircraft type

다. Airport number

라. Aircraft fuel

반응형

'항공사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6  (0) 2025.04.03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5  (0) 2025.04.03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4  (0) 2025.04.03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3  (0) 2025.04.03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1  (0)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