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공사 기출문제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11

반응형

1. Low-level stratus clouds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한 가장 작은 크기의 물방울과 관련 있는 결빙 유형은 무엇인가?

 

가. Clear ice

나. Frost ice

다. Rime ice

 

REF. AC 00-6B Chap 18

 

2. 어떤 종류의 바람이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면서 따뜻해지고, 건조해지는가?

 

가. Land breeze

나. Valley Wind

다. Katabatic wind

 

REF. AC 00-6A Chap 4

 

3. 따뜻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차가운 호수 위로 지나갈 때

 

가. 소나기가 발생할 수 있다

나. 로터구름이 발생할 수 있다

다. 큰 호수의 이류면(leeward side)에서 안개가 발생할 수 있다

 

REF. AC 00-6B Chap 16

 

4. 24시간 중 최저 온도는 일반적으로 언제 발생하는가?

 

가. 일출 직후

나. 일출 약 1시간 전

다. 자정

라. 일몰 직후

 

REF. AC 00-6B Chap 4

 

5. 비행 중 심각한 결빙을 일으킬 수 있는 조건은?

 

가. 영하의 온도에서 Visible rain

나 5˚C 이하의 온도에서 visible moisture

다. 10˚C 이하의 온도에서 visible rain

 

REF. AC 91-74B

 

6. Non-radar 상황에서 VFR-on-Top이 지정된 IFR 인가로 비행중일 때 조종사 위치보고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가. 운용 형태에 관계없이 IFR 운용에 요구되는 동일한 보고를 한다

나. 고도 이탈을 제외한 모든 정상적은 IFR 보고를 한다

다. 단지 예보되지 않은 기상보고에 대해서만 보고한다

라. 고도와 항로의 변경을 제외한 정상적인 IFR보고를 한다

 

REF. AIM 4-4-8

 

7. 다음 중 Approach Category의 기준이 되는 것은?

 

가. Airspeed

나. AFM

다. MLW

라. POH

 

REF. FAA-H-8083-15B Chap 1

 

8. Approach를 위하여 IAF로 향하는 중 ATC의 지시가 없을 경우 조종사의 행동으로 올바른 것은?

 

가. 실패접근절차를 수행한다

나. Approach Procedure를 따라 IAF 이후 정상적으로 Descent를 수행한다

다. 배정받은 고도와 속도를 유지하며 ATC에 확인한다

라. Published Holding Fix에서 Holding을 수행한다

 

REF. AIM 5-4-6

 

9. 수면이나 어두운 지역 또는 눈으로 덮인 지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착시현상은 무엇인가?

 

가. 높이 있는 듯한 착각

나. 멀리 있는 듯한 착각

다. 가까이 있는 듯한 착각

라. 낮게 있는 듯한 착각

 

REF. FAA-H-8083-25C chap 17

 

10. 고도에 따른 Vx와 Vy 변화에 대해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가. Vx와 Vy 모두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나. Vx와 Vy 모두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다. Vx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라. Vy는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REF. FAA-H-8083=25C chap 11

 

11. 직진수평비행에서 Load Factor를 증가시키는 요인은?

 

가. 상승

나. 강하

다. 선회

라. 실속

 

REF. FAA-H-8083-25C chap 5

 

12. 수평선회 중 속도가 증가되었다면 고도를 유지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가. 받음각과 경사각을 감소시켜야 한다

나. 받음각이 증가되거나 경사각이 감소되어야 한다

다. 받음각과 경사각이 증가되어야 한다

라. 받음각이 감소되거나 경사각이 증가되어야 한다

 

REF. FAA-H8083-25C chap 5

 

13. 양력이 작용하는 날개골 선상의 지점은 무엇인가?

 

가. 중력

나. CP

다. 시위의 중간점

라. 무게중심

 

14. 초음속 비행 시 Shockwave 발생 지점은 어디인가?

 

가. Wing root

나. Wingtip

다. Wing 상부

라. Wing 하부

 

REF. FAA-H-8083-25C chap 5

 

15. 구조신호의 코드가 "V"로 표시 되었을 때 의미하는 것은?

 

가. 의료지원이 필요하다

나. 아니다

다. 그렇다

라. 도움이 필요하다

 

REF. 국토부 표준교재 항공교통통신정보 2편 3.2.4

 

16. 동고도 선회를 할 때 비행기 날개 하중은 무엇에 따라 달라지는가?

 

가. 선회율

나. 진대기속도

다. 지시속도

라. 선회각

 

REF. FAA-H-8083-25C chap 5

 

17. Stall 시 CP는 어디로 이동하는가?

 

가. 앞으로 이동한다

나. 뒤로 이동한다

다. 앞으로 이동하다 뒤로 이동한다

라. 이동하지 않는다

 

REF. FAA-H-8083-25C chap 5

 

18. Displaced Threshold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Blast pad / Stopway 이다

나. Stopway는 반대 방향에서 이륙하던 비행기가 Rejected Take-off를 하거나 착륙하던 항공기가 활주로 내에서 정지하지 못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다. 이 부분은 Taxi 용도로는 사용 가능하다

라. 활주로 끝에 접해있으며 Chevron으로 표시된 이 부분은 이착륙 용도로 사용될 수 없다

 

REF. AIM 2-3-3-h

 

19. Hijack code로 알맞은 것은?

 

가. 7200

나. 7500

다. 7777

라. 7700

 

REF. AIM 6-3-4

 

20. MEL 적용 시점으로 옳은 것은?

 

가. Engine Start 전

나. 항공기 출발 전 시점

다. 항공기 탑승 전 시점

라. 항공기 이륙 전 시점

 

REF.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36조 출발전의 확인, 운항기술기준 8.1.6.3, 9.1.18.7

 

21. 운항 전 결함사항 발생 시 운항 여부를 판별하는 기준은?

 

가. FOM

나. AFM

다. FTCM

라. MEL

 

REF.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36조 출발전의 확인, 운항기술기준 8.1.6.3, 9.1.18.7

 

22. IFR training 시 Flight Plan에 기입할 코드로 적절한 것은?

 

가. S

나. N

다. G

라. C

 

REF. ICAO Annex 2 Appendix 2

 

23. ICAO 기준으로 14,000ft 이하에서 Holding Speed로 맞는 것은?

 

가. 175kt

나. 210kt

다. 230kt

라. 265kt

 

REF. ICAO Doc8168 vol.1 part.2 sec.6.2.1.1

 

24. 비정밀접근이나 Circle to Land 시 가장 낮게 내려갈 수 있는 고도는?

 

가. Decision Altitude

나. Minimum Descent Altitude

다. Pattern altitude

라. MSA

 

REF. AIM 5-4-20

 

25. FAF를 지난 후 시정값이 기상 최저치보다 낮아진 경우 조종사의 행동으로 알맞은 것은?

 

가. 계속 접근이 허용되고 DA까지 강하한다

나. ILS 활주로의 접근 말단까지 계속해서 접근이 허용된다

다. 즉시 ATC에 실패접근의 실행 여부를 문의한다

라. 실패접근절차를 즉각 시행한다

 

REF.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81조 계기비행방식 등에 의한 비행/접근/착륙 및 이륙

 

26. Standard rate of turn으로 180도 선회 시 소요 시간은?

 

가. 30초

나. 60초

다. 90초

라. 120초

 

REF. FAA-H-8083-15B Chap 4

 

27. SID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Departure Route와 Transition Route로 구성되어 있다

나. 신속한 Departure를 돕기 위해 만들어져 있다

다. Minimum Climb Gradient는 200FPM이다

라. Obstacle Clearance가 보장된다

 

REF. AIM 5-2-9, 조종사 표준교재(계기비행) 4편 2.2

 

28. 다음 중 RNAV 항로가 아닌 것은?

 

가. L route

나. Y route

다. Z route

라. B route

 

REF. FAA-H-8083-16B chap 2 Composition of Designators

 

29. IFR 기상상태에서 통신 두절 시 착륙은 가능한 접근예정시간과 도착예정시간 중 어느 때 착륙하여야 하는가

 

가. 더 빠른 시간으로부터 30분 이후

나. 더 빠른 시간으로부터 30분 이내

다. 더 빠른 시간으로부터 30분 이후

라. 더 빠른 시간으로부터 30분 이내

 

REF.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190조 통신

 

30. 다음 중 Approach Ban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계기접근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보고된 기상상태가 최저착륙 기상치 이상이어야 한다

나. Approach Ban에 관련된 정책은 국가별로 상이할 수 있다

다. 계기접근을 시작하여 항공기의 위치가 FAF 통과 후 기상이 최저치 미만으로 보고되면 DA/MDA까지 접근을 계속할 수 없다

라. CATⅢ 접근 중 Controlling RVRs이 허용된 착륙 제한치 미만으로 보고되면 Missed Approach를 수행해야 한다

 

REF. 운항기술기준 8.1.11.43

 

반응형

'항공사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13  (0) 2025.04.03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12  (0) 2025.04.03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10  (0) 2025.04.03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9  (0) 2025.04.03
항공사 기출문제 정리 8  (0)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