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Performance] Runway Condition & Braking Action ⓐ Runway Condition활주로 상태정의 / 특성Dry활주로 표면에 수분이 전혀 없고 건조한 상태물기가 존재하여도 활주로 특성(Grooved RWY or PFC포장활주로)상 Dry의 제동성능을 보유한 상태Damp활주로가 경미하게 젖어있지만, 물기로 인해 활주로 표면에 반사는 없는 상태Dry Runway만큼 양호한 제동성능을 보유, 활주로 표면 온도는 결빙보다 높은 상태Wet활주로 표면이 반사가 있을 정도의 물(깊이 3mm 미만) 또는 이와 동등한 물질로 덮여있지만 심각하게 물이 고여 있는 지역은 없는 상태, Hydroplaning이 생길 위험성은 없음해당기상 현천 : -RA, -SN, RA, SNContaminated사용되는 필요활주로표면 25% 이상이 물(깊이 3mm 이상) 또는 이와 동등한 물.. [Performance] Accelerate-Go/Stop Distance Accelerate- Go/Stop Distance & Balanced Field Length가. Accelerate-Stop Distance vs Accelerate-Go DistanceAccelerate-Stop DistanceAccelerate-Go Distance이륙 중 한 쪽 엔진을 잃고 비행기를 정지시키는 데 필요한 총 거리 이륙 중 한 쪽 엔진을 잃은 후 이륙을 계속하여 V2에서 35ft까지 도달하는 데 필요한 총 거리 나. Balanced Field Length - 정지 또는 이륙하는 데 동일한 거리가 소요되는 경우 - V1 속도에서 이륙을 결심하고 Rotation을 했을 때 필요한 이륙거리와 V1에서 이륙을 포기했을 때 필요한 가속정지거리가 같은 활주로 길이 - 이 때, 이륙거리와 가속정.. [Performance] V Speeds V Speeds종류의미V1T/O Decision Speed(이륙결심속도), 또는 Go/No-Go SpeedV1에서 항공기를 정지시킬 수 있고, 계획된 이륙거리 내에서 35ft까지 계속 이륙 가능 VrRotation Speed (1.1 x Vmu), 35ft에서 V2를 얻을 수 있는 이륙활주중의 Nose up 속도VMUMinimum Unstick Speed, 부양할 때 Minimum 속도V2T/O Safety Speed(이륙안전속도), OEI 시 35ft에서의 최소 상승속도VLOFLift off Speed. 공중에 부양되는 속도VAManeuvering Speed (항공기 기동속도). 항공기의 구조적 손상 없이 기동할 수 있는 최대 속도VCCruising Speed (설계순항속도)VmcMinimum Cont.. [Performance] Runway Declared Distance 활주로 공시거리ⓐ TORA (Take-off Run Available) - 항공기의 이륙을 위한 지상활주가 가능/적합한 활주로의 길이 - TORA = 활주로 길이 (Displaced Threshold 부분 포함) ⓑ TODA (Take-off Distance Available) - 항공기가 이륙하여 일정고도까지 초기 상승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용하는데 적합하다고 결정된 활주로 길가 - TODA = TORA + Stopway + ClearwayClearwayStopwayICAO : 항공기가 일정고도에 이르기까지 초기 상승단계로 진입하는 용도로 마련된 적절한 범위. 해당 기관의 통제 하에 있는 지상 또는 해상의 장방향의 지역FAA : 지형이나 고정 장애물이 설정된 제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항 관제.. [Performance] Take-off & Landing Take-off & Landing Distance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Take-off Distance영향요소특징Pressure Altitude고도 증가에 따른 공기밀도 감소Engine / Wing / Propeller Performance 감소에 따른 가속 및 공기역학적 성능 ↓Ambient Temperature온도가 높을수록 공기밀도 감소 (Density altitude 증가)Engine / Wing / Propeller Performance 감소에 따른 가속 및 공기역학적 성능 ↓Gross Weight무게가 증가할수록 Lift-off speed 증가무게가 증가할수록 가속성능 감소무게가 증가할수록 Retarding Force 증가 (지면과의 마찰, Drag 증가)ConfigurationFlap 또는.. [Performance] Normal & Reverse Command Region Normal Command Region vs Reverse Command RegionNormal Command RegionReverse Command RegionMaximum Endurance 지점 이상의 속도 영역 (Power curve의 최저점 오른쪽)고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Pitch for Altitude / Power for AirspeedParasite Drag가 우세하여 Total Drag가 증가하므로 증속을 위해서는 많은 Power 보충 필요상승, 순항, 기동과 같은 대부분의 비행 단계가 이에 속함Maximum endurance 지점 이하의 저속 영역 (Power curve의 최저점 왼쪽)고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Power for Altitude / Pitch for Airspe.. [Performance] Aircraft Performance Aircraft Performance가. 정의 - 항공기가 여러가지 변화하는 조건에서 어떤 목적(이륙, 상승, 선회, 순항, 착륙)을 이루는 능력Performance에 영향을 주는 요인Performance에 영향을 받는 요인항공기 무게항공기 외장상태대기의 상태 (기압고도, 밀도고도)이/착륙 거리상승률최대 상승고도 (Ceiling)항속거리 (Range)순항고도연료효율StabilityManeuverabilityPayload나. 항공기 성능 비교를 위한 고려사항 -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직진 수평비행하거나 정속 상승/강하하는 비 가속비행을 전제로 함 - Thrust = Drag & Lift = Weight인 상태 다. 각 조건별 Performance 비교 ⓐ Straight & Level Flight -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