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ather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항공기상] Fogs Fogs가. 안개의 정의 및 생성/소산 조건 ⓐ 안개의 정의 - 지상에서 50ft 이내에 발생한 구름 - 20ft AGL 이하의 Radiation Fog를 Ground Fog라고도 함 ⓑ 안개의 생성조건 - 대기 중에 수증기가 다량으로 함유 - 바람이 없을 것 - 대기 상층이 안정 (고기압권, 대기가 불안정하고 상승기류가 발생하면 적란운 생성) - 공기가 노점온도 이하로 냉각 (기온과 이슬점 차이가 작을수록 안개 생성 가능성 커짐) - 응결을 촉진시키는 응결핵 존재 - 기온역전층에서 발생 ⓒ 안개의 소산조건 - 지표 부근의 강한 바람 (구름의 형태로 상승) - 공기의 가열로 인한 기온역전 해소 - 차갑고 밀도가 큰 공기의 유입 (이동 또는 증발) 나. 안개의 종류종류특징Radiation Fog바람 .. [항공기상] Clouds Clouds가. 구름의 생성 조건 : 충분한 수증기, 대기가 노점온도 이하로 냉각, 응결핵 존재 나. 구름의 종류 : 높이, 모양, 특성에 따라 구분 ⓐ 상층운 : 고도 20,000ft AGL 이상에서 형성, 주로 빙정(Ice Crystal)로 구성종류특징권운 (Ci)상층운에서 가장 높은 고도에 형성얇은 층의 빙정으로 구성된 가늘고 긴 섬유 or 새털 모양무거운 빙정이 떨어져 Virga 발생 (난기류)권적운 (Cc)다른 권운과는 달리 대류성 기류가 존재빙정과 과냉각 액체로 구성된 흰색 생선비늘 or 조개 모양권층운 (Cs)주로 햇무리 현상 발생습기를 포함하지 않아 고고도 항공기 운항에 지장 X권층운의 발달로 12 ~ 24시간 이내에 강수 예측 가능ⓑ 중층운 : 고도 6,500 ~ 20,000ft AGL.. [항공기상] Temperature Inversion 기온역전가. 정의 -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데, 기온 역전 현상에서는 높은 고도의 기온이 높고 낮은 고도의 기온이 낮게 나타남- 고기압 상태에서 바람이 불지 않고 일교차가 큰 날에 잘 발생하는 현상* 기온역전이 고기압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유- 공기 하강 : 고기압 지역에서는 공기가 하강하고 이 하강 과정에서 공기가 압축되며 온도가 상승. 지표면 근처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차가워져 상층의 따뜻한 공기와 역전층이 형성. - 안정된 대기 : 고기압에서는 대기가 안정되어 수직 운동이 억제됨. 이로 인해 지표면의 차가운 공기와 상층의 따뜻한 공기가 섞이지 않아 기온 역전이 유지됨. - 맑은 날씨 : 고기압은 일반적으로 맑은 날씨를 동반. 맑은 밤에는.. [항공기상] Lapse Rate & Stability Lapse Rate & Stability가. 정의 - Lapse rate : Air Parcel이 상승함에 따라 냉각되어 기온이 강하하는 비율 - Dry Adiabatic Lapse Rate : 불포화상태(Unsaturated)인 Air Parcel의 Lapse Rate (-3˚C/1,000ft). Unstable한 상태 - Moist Adiabatic Lapse Rate : 포화상태(Saturated)인 Air Parcel의 Lapse Rate (-1.2 ~ -3˚C/1,000ft) 물의 비열이 크기 때문에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는 건조공기에 비해 같은 온도로 변화 시키기 위해 더 많은 양의 에너지 출입 필요. Stable한 상태 나. 공기의 Stability에 따른 특징Stable AirUnstabl.. [항공기상] 기압경도력 / 코리올리 힘 / 마찰력 바람에 작용하는 세 가지 힘가. 기압경도력 (Pressure Gradient Force, PGF) - 압력 차이에 의해 바람 생성 - 압력이 동등하게 되는 방향으로 (즉, 압력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PGF가 작용하여 바람 생성 - Isobar Contour를 통해 PGF의 방향, 크기에 대해 알 수 있음 - 기압경도력은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Isobar에 직각으로 작용 - 풍속은 PGF의 크기에 정비례, Isobar의 간격이 좁을수록 PGF의 크기가 크고 풍속 또한 높음 나. 코리올리 힘 (Coriolis Force) - 지구 자전에 의해 운동하는 물체가 받는 힘으로 운동하는 물체를 한 쪽 방향으로 편향시킴 (북반구에서는 오른쪽, 남반구에서는 왼쪽) - 적도 부근에서는 코리올리 힘의 .. [항공기상] Relative Humidity & Performance 상대습도 / 이슬점 / Performance의 상관관계가. 상대습도 (Relative Humidity) - 특정 기온/기압 조건에서 Air Parcel이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수분 질량에 대해 Air Parcel이 포함하고 있는 수분의 질량을 %로 나타낸 수치 - 상대습도를 통해서는 공기가 실제로 수분을 얼마나 함유하고 있는지 알 수 없지만, 공기가 포화상태에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 알 수 있음 - Air Parcel이 수분을 얼마나 함유할 수 있는지는 공기의 온도에 달려 있음 → 수분의 양 변화 없이 온도만 올라가면 상대습도 감소, 온도만 내려가면 상대습도 증가나. 이슬점 (Dew Point) - 불포화상태의 Air Parcel이 일정한 기압과 수증기가 분압을 유지하며 냉각됐을 때, 포화상태에 도달하여 .. [항공기상] Atmosphere and Weather 대류 및 기상현상의 원인가. 지구는 태양복사에너지에 의해 가열 - 지구는 태양에너지를 받아 다시 방출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에너지의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지역적으로는 불균형 상태에 놓여 있음 - 불균형 해소를 위해 에너지가 큰 적도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극지역으로 에너지의 이동이 일어나며 에너지 균형을 이룸 - 에너지의 이동은 대기 중 발생하는 모든 기상현상을 통해 나타남 나. 만약 지구가 자전하지 않고 자전축이 기울어지지 않고 물 또한 존재하지 않았다면 - 적도 부근에 태양복사에너지가 가장 많이 도달하여 가장 많이 가열되고, 양 극지방은 에너지가 가장 적게 도달하여 가장 덜 가열 - 적도 부근의 가열된 공기는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져 위로 떠오르고, 극지방 부근의 차가운 공기는 냉각되어 밀도가 낮아져 가..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