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ding Procedure
가. 정의 및 목적
ⓐ Holding의 정의
- Traffic 간격분리 & 원활한 흐름을 위해 항공기를 공중에 대기시키는 방법
- 기본적으로 Race Track 모양을 그리며 선회하는 형태로 체공 실시
ⓑ Holding의 목적
- Traffic 간 분리 유지가 필요할 때
- Clearance Limit을 공항까지 받지 않고 어떤 한 Fix까지 받은 상태에서, 해당 Fix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 Clearance를 받지 못했을 때
- Clearance Limit이나 Fix에서 Delay가 예상된다고 ATC가 판단할 때
- Radar 고장 또는 수신범위 밖의 Traffic을 통제할 때
- Radio Failure 상황에서 Clearance Limit에 도달했을 때
- Missed Approach를 수행할 때
- Assigned altitude로 상승/하강을 위해 조종사가 요청할 때
- 목적지 기상이 호전되고 있을 경우, Divert 여부를 판단하면서 대기할 때
나. Holding Criteria 비교 (FAA vs ICAO)
ⓐ Maximum Holding Speed
- FAA (US TERPS)
고도
|
최대속도 (모든 항공기)
|
6,000ft MSL 이하
|
200 KIAS
|
6,001ft ~ 14,000ft MSL
|
230 KIAS
|
14,001ft MSL 이상
|
265 KIAS
|
|
- ICAO
Level
|
Normal Condition
|
Turbulence Condition
|
14,000ft MSL 이하
|
230 KIAS
|
280 KIAS
|
170 KIAS
|
170 KIAS
|
|
14,001ft ~ 20,000ft
|
240 KIAS
|
280 KIAS 또는 0.8 Mach 둘 중 낮은 속도
|
20,001ft ~ 34,000ft
|
265 KIAS
|
|
34,001ft 이상
|
0.83 Mach
|
0.83 Mach
|
|
ⓑ Speed를 제외한 Criteria
Criteria
|
FAA
|
ICAO
|
Timing
|
Inbound 기준
|
Outbound 기준
|
Bank Angle / Rate of Turn
|
30˚ Bank or 3˚ sec Turn or Flight Director 사용 시 25˚ Bank 셋 중 가장 작은 Bank Angle
|
25˚ Bank or 3˚ sec Turn 둘 중 작은 Bank Angle
|
HDG / TRK
|
Parallel : HDG
Teardrop : HDG |
Parallel : HDG
Teardrop : TRK |
Wind Correction
|
Outbound 시 Triple method 적용
|
정해진 Track이 유지되도록 HDG 및 Timing 조절
|
* Timing은 14,000ft MSL 이하 1분, 14,001ft MSL 이상 1분 30초
* Outbound timing 시작은 Over 혹은 Abeam the fix 중 늦은 것 기준
* Abeam point가 결정될 수 없는 경우에는 Outbound turn 완료 시 Timing 시작
다. Holding Procedures
ⓐ Holding Clearance 부여
- Clearance limit or Fix에서 지연이 예상될 때, ATC에서 Clearance Limit 또는 Fix 도착(ETA) 최소 5분 전 Holding Clearance 발부
- 만약 Clearance Limit or Fix 도착 3분 전까지 Clearance를 받지 못한 경우, 조종사는 속도를 Maximum holding speed 이하로 감속시키면서 Published holding을 예상
- Chart에 Holding pattern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 ATC는 'Hold as published' 지시
- Holding instruction에는 Holding 방향, Holding fix, EFC Time을 제외한 정보 생략
- Chart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Holding pattern은 아래 정보를 포함한 Holding instruction 부여
Direction to hold from holding fix
Holding fix The holding course (Radial, Magnetic bearing, Airway) Outbound leg length (in minutes or nautical miles) Nonstandard pattern, if used Expect further clearance time |
"Cessna 172, Hold SW
of PILIT on G697 2 miles leg left turns expect further clearnce at 0500Z" |
ⓑ Holding Entry
- Holding pattern에 진입하기 위한 방법
- 아래 세 가지 Entry를 이용하여 Holding에 진입하는 것을 기준으로 Holding protected area가 정해짐
(각 Entry에서 Deviation 발생하고, Holding fix를 통과 속도가 과도하면 Protected area를 벗어날 수 있음)
Entry
|
진입방법
|
Parallel (Sector 1)
|
|
Teardrop (Sector 2)
|
|
Direct (Sector 3)
|
|
* VOR Intersection holding의 경우, Entry track은 Intersection을 형성하는 Radial로 제한됨
* VOR/DME Fix holding하는 경우, Entry track은 다음으로 제한 - VOR radial - DME arc - Outbound leg의 끝에서 VOR/DME fix로 Inbound하는 radial (Chart에 명시된 경우) |



* Clearance Limit
- 비행인가 한계점으로, 항공기의 Air Traffic Control Clearance가 보장된 한 지점 - Clearance limit은 비행장 또는 특정 지점, 관제공역 경계선으로 지정될 수 있음 - Short-range clearance procedure를 활용하는 경우, Clearance limit은 Terminal area 이내 or 바깥에 있는 Fix가 되고, Further clearance 수령을 위한 주파수가 함께 제공됨 * EFC (Expect Further Clearance) - Clearance limit 이후의 Clearance 인가를 예상할 수 있는 시간 - 보통 Timed approach 수행중일 때 EFC Time 발부 * Timed approach - Holding fix로부터의 Timed approach는 Radar system이 고장 났거나, 많은 항공기가 Approach clearance를 기다릴 때 실시 - FAF나 Outer marker를 떠나 Inbound 하는 시간을 할당 - Timed approach는 아래 조건들이 충족될 때 실시 ⓐ Approach가 실시되는 공항에서 관제탑이 운용 ⓑ 조종사가 Tower에 Contact하기 전까지 Center 혹은 Approach 관제소 간 통신 유지 ⓒ 두 개 이상의 MAP가 사용 가능한 경우, Course reversal이 요구되지 않아야 함 ⓓ 하나의 MAP가 사용 가능한 경우 Course reversal이 요구되지 않고, 보고된 운고와 시정이 계기접근절차에 명시된 Circling approach minimum 이상이어야 함 ⓔ Approach clearance 이후에 조종사는 Procedure turn을 실시해서는 안됨 |
'IFR Procedur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R] Approach Ban (0) | 2025.02.28 |
---|---|
[IFR] Elevation & Height References (0) | 2025.02.28 |
[IFR] Arrival Procedure (0) | 2025.02.27 |
[IFR] En-route Procedure (0) | 2025.02.18 |
[IFR] Departure Procedure(DP)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