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route Procedure
가. General
- Departure Procedure의 종료지점으로부터 Arrival Procedure의 시작지점까지의 비행구간
나. 항로의 종류
ⓐ 구분 (FAA 기준)
- Victor Airway : 1,200ft AGL 이상 ~ 18,000ft MSL 미만 (Low IFR En-route chart에 표기)
- Jet Airway : 18,000ft MSL 이상 ~ 45,000ft MSL 미만 (High IFR En-route chart에 표기)
- RNAV Route : GPS Navigation용 항로
ⓑ Victor Airways (FAA)
- 1,200ft AGL 이상 ~ 18,000ft MSL 미만 구간에서 VOR, VOR/DME, VORTAC 등의 지상항행시설 Radial을 이용하여 Station과 Station 사이를 비행하는 항로
- Low IFR En-route chart에 표기 : Black 'V' + Route number
- Primary Area : 항로 중심선 기준 좌우 4NM & 중심선으로부터 4.5˚ 범위 내 장애물 회피 보장 (비 산악지형 1,000ft, 산악지형 2,000ft)
- Secondary Area : Primary area로부터 2NM & 중심선으로부터 6.7˚ 범위 내 장애물 회피 보장 (비 산악지형 5,000ft, 산악지형 1,000ft)
- 항로의 전체 길이가 102NM를 초과하면 부가적인 공역이 할당됨

Victor Airways
* 산악지형(Mountainous Area)의 정의
|
ⓒ Jet Airways (FAA)
- 18,000ft MSL 이상 ~ 45,000ft MSL 미만 구간에서 VOR, VOR/DME, VORTAC 등의 지상항행시설 Radial을 이용하여
Station과 Station 사이를 비행하는 항로
- High IFR En-route chart에 표기 : Black 'J' + Route number

Jet Airways
ⓓ RNAV Route
- TO-FROM 원칙에 구애받지 않고 항행장비 능력 한계 내에서 원하는 비행로로 직선비행 가능한 항로
- Chart 상에 Aeronautical Blue 색상으로 표기
- 저고도 RNAV 항로는 'T', 고고도 RNAV 항로는 'Q' 접두사 사용
- GNSS RNAV 항공기용 MEA에는 'G' 접미사 추가 (DME/DME/IRU RNAV 항공기는 해당 X)


RNAV Route Low(T) / High(Q)
ⓔ LF/MF Airways
- LF/MF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항법장비(NDB 등)로 구성
- Colored airway (Colored name & number로, 기본적으로 Brown 색상 사용)
- 항로 중심으로부터 4.34NM의 폭 / 5˚로 확장 / 49.66NM 이상의 Course guidance 제공

LF/MF Airways
ⓕ ATS Route (Air Traffic Service Route)
- VOR Federal Airways, Colored Federal Airways, Jet routes, RNAV routes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어
- Air Traffic Service 제공에 필요한 Traffic 흐름을 Channeling하는 지정된 경로
- 다양한 Airway를(Advisory route, Controlled/Uncontrolled route, Departure/Arrival route 등) 의미
ⓖ 항공로 명칭 부여 기준
- 다음 알파벳 접두사와 1~999의 숫자로 구성
접두사
|
의미
|
G, R, A, B
|
|
L, M, N, P
|
|
H, J, V, W
|
|
Q, T, Y, Z
|
|
- 접두사 추가 :
K (Kopter, 회전익 항공기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저고도 항로)
U (Upper airspace)
S (Supersonic, 초음속 항공기의 가/감속 및 초음속 비행을 위해 독자적으로 사용되는 항로)
- 접미사 추가 :
F (조언업무만 제공)
G (비행정보업무만 제공)
* En-route Navigation using GPS
|
다. IFR Altitude의 종류
종류
|
의미
|
MIA
|
|
MEA
|
|
MOCA
|
|
MAA
|
|
MRA
|
|
MCA
|
|
MSA
|
|
MVA
|
|
MHA
|
|
MORA
|
|
Grid MORA
|
|


MEA / MOCA


MAA / MRA


MCA / MVA

OROCA (MORA)
라. Change Over Point (COP)
ⓐ 정의
- 항법시설의 주파수 변경이 요구되는 시점
- 조종사는 이 지점에서 후방 항행시설로부터 전방 항행시설로 주파수를 변경해야 함
- COP가 없는 경우, 항로의 중간 지점에서 주파수 변경
ⓑ COP 설정의 이점
- 신호의 상실을 방지
- 다른 시설과의 주파수 간섭 방지
- 동일한 공간에서 항공기들이 서로 다른 항행시설을 이용하는 것을 방지

Changeover Point
마. 전이고도
ⓐ 정의
- Transition Altitude : 항공기 수직위치가 MSL 고도를 기준으로 하여 관제되는 공항 주변에서의 고도 (Indicated Altitude)
- Transition Height : 공항 주위에서 항공기 수직위치가 공항의 기준점으로부터의 높이로 표현되는 고도 (Absolute Altitude)
- Transition Level : QNE를 Set 하고 가장 낮게 비행할 수 있는 고도 (Pressure Altitude)
- Transition Layer : Transition Altitude와 Transition Level 사이의 공역. 공항 Terminal Area와 En-route area를 구분하고 각 구역 사이의 비행방식 전환 (한국 14,000ft MSL / 미국 & 일본 18,000ft MSL : 나라마다 기온/기후/지형특성 등 비행환경이 다름에 의함)

ⓑ Altimeter Setting
- 안전하고 효율적인 수직분리 제공을 위하여 Transition layer를 기준으로 기압수정치 변경
- Transition Layer를 통과하여 강하하는 항공기는 100NM 이내 Local Altimeter(QNH) Set (Altitude)
- Transition Layer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항공기는 29.92inHg 혹은 1013.2hPa(QNE) Set (Flight Level)
'IFR Procedur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R] Approach Ban (0) | 2025.02.28 |
---|---|
[IFR] Elevation & Height References (0) | 2025.02.28 |
[IFR] Arrival Procedure (0) | 2025.02.27 |
[IFR] Holding Procedure (0) | 2025.02.27 |
[IFR] Departure Procedure(DP)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