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ival Procedure
가. 정의 및 종류
ⓐ 정의
- En-route structure 종료지점으로부터 Approach 시작지점까지의 구간
- En-route structure와 혼잡한 Terminal area 사이의 Smooth transition 제공
- STAR, Feeder route, Terminal arrival area, Radar vector의 형태로 조종사에게 제공
ⓑ 종류
종류
|
특징
|
STAR
(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
|
Feeder Route
|
|
TAA
(Terminal Arrival Area) |
|
Radar Vector
|
|
나. STAR (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 STAR의 정의
- 미리 계획/발간되어 조종사에게 Text 또는 Graphic 형태로 제공되는 Arrival Procedure
- En-route 상의 Fix 혹은 항행시설로부터 IAF까지의 연결 제공

ⓑ STAR의 장점
- 조종사/관제사 Workload 감소
- 주파수 혼잡도 감소
- Traffic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줌
- 소음 감소절차 제공
- Obstacle Clearance 보장
- 배기가스 배출 감소로 친환경적
ⓒ STAR의 일반규칙
-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 가능한 한 장에 표현
- Jet 항공기부터 Single engine 항공기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
- 가능한 한 VORTAC 사용 (군용기 사용 가능하도록)
- DME arc 사용 피할 것 (모든 항공기가 DME 장비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 ATC에 의해 할당된 고도/속도 제한사항 포함 (ATC가 총 시간의 75% 이상 MCA나 속도제한을 지시하는 경우, 해당 제한사항은 Procedure에 추가되고 Chart에서 확인 가능. 이러한 예상되는 고도/속도제한은 ATC가 구두로 지시하기 전까지는 Clearance 해당 X. STAR은 단순히 Published된 Route 이므로 ATC가 특별히 발부하지 않는 이상 Clearance로서의 강제성 X)


다. Vertical Navigation Planning
ⓐ 정의
- En-route ~ Approach fix까지 효율적인 강하 계획 수립, 저고도 비행 시간을 줄여줌으로서 연료 절감에 도움
- 속도/고도 Planning을 통해 항공기의 Power setting 및 Configuration 관리를 통해 시간, 연료 소모량, 엔진 수명에 이득
ⓑ 강하계획을 위한 고려사항
- 기본적인 컨셉 : 정확한 TOD 산출 + 적절한 Descent profile + 경제성을 위한 Clean configuration 사용
- 강하계획을 위해 다음 사항을 고려
|
ⓒ TOD (Top of Descent) 계산
- 20:1 강하방법 (2,000ft 당 100ft 강하 -> 6,000ft당 300ft -> 300ft/NM)
- 3˚ Glide slope (318ft/NM)
- Track miles To Go 방법 (남은거리 x 300 = 고도)
- One to Three 방법 (1,000ft 강하 당 3NM -> 333ft/NM)
* fpm = (ft/NM) X GS ÷ 60
* 여압장치 사용이 불가한 항공기는 -500fpm이 Optimum
'IFR Procedur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R] Approach Ban (0) | 2025.02.28 |
---|---|
[IFR] Elevation & Height References (0) | 2025.02.28 |
[IFR] Holding Procedure (0) | 2025.02.27 |
[IFR] En-route Procedure (0) | 2025.02.18 |
[IFR] Departure Procedure(DP)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