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vation & Height References
가. TCH / HAT / TDZE
- TCH : Threshold Crossing Height. G/S or VDA를 유지하며 착륙접근을 계속했을 때 지나게 되는 Threshold 표고 기준 AGL 고도
- HAT : Height Above Touchdown. 활주로 착륙표면의 초반 3,000ft 중 가장 높은 지점의 표고를 기준으로 한 높이
- HAA : Height Above Airport. 비행장의 사용 가능한 활주로 표면 중 가장 높은 지점의 표고(ARP)를 기준으로 한 높이
나. Obstacle Clearance Altitude/Height (OCA/H)
- Obstacle clearance criteria를 충족하는 고도/높이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고도 or 높이
- OCA : MSL 기준 / OCH : Runway Threshold Height or 비행장 표고로부터의 수직거리로 산정
- 각 접근 방식에 따른 정의
ⓐ 정밀접근 : 정밀접근에서의 가장 낮은 고도를 의미하며, Missed approach가 이루어지는 고도
ⓑ 비정밀접근 : Threshold Height가 비행장 표고보다 2m(7ft) 미만일 경우, 비행장 표고로 OCH 계산. 해당 장애물 회피 기준을 위반하지 않고는 그 아래로 내려갈 수 없는 최저고도/높이
ⓒ 선회접근 : 해당 장애물 회피 기준을 위반하지 않고는 그 아래로 내려갈 수 없는 최저고도/높이
다. DA/H & MDA/H
종류
|
의미
|
DA/H
|
|
MDA/H
|
|



라. VDP (Visual Descent Point)
- MDA로부터 Thouchdown point까지 3˚ 강하각으로 Stabilized approach를 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가상의 지점
- Non-precision Straight-in Approach에서만 적용
- 이 지점 도달 전에 MDA이하로 강하 불가
- Approach threshold, lights or marking 이 확실히 조종사에게 보이는 지점
- MDA를 지나 VDP에 도달했을 때 Visibility와 Runway environment가 in sight 되지 않았다면 Missed Approach 수행


'IFR Procedur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R] Vertical Path Control on Non-precision Approach Procedures (0) | 2025.02.28 |
---|---|
[IFR] Approach Ban (0) | 2025.02.28 |
[IFR] Arrival Procedure (0) | 2025.02.27 |
[IFR] Holding Procedure (0) | 2025.02.27 |
[IFR] En-route Procedure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