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7) 썸네일형 리스트형 [Performance] Runway Declared Distance 활주로 공시거리ⓐ TORA (Take-off Run Available) - 항공기의 이륙을 위한 지상활주가 가능/적합한 활주로의 길이 - TORA = 활주로 길이 (Displaced Threshold 부분 포함) ⓑ TODA (Take-off Distance Available) - 항공기가 이륙하여 일정고도까지 초기 상승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용하는데 적합하다고 결정된 활주로 길가 - TODA = TORA + Stopway + ClearwayClearwayStopwayICAO : 항공기가 일정고도에 이르기까지 초기 상승단계로 진입하는 용도로 마련된 적절한 범위. 해당 기관의 통제 하에 있는 지상 또는 해상의 장방향의 지역FAA : 지형이나 고정 장애물이 설정된 제한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항 관제.. [Performance] Take-off & Landing Take-off & Landing Distance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Take-off Distance영향요소특징Pressure Altitude고도 증가에 따른 공기밀도 감소Engine / Wing / Propeller Performance 감소에 따른 가속 및 공기역학적 성능 ↓Ambient Temperature온도가 높을수록 공기밀도 감소 (Density altitude 증가)Engine / Wing / Propeller Performance 감소에 따른 가속 및 공기역학적 성능 ↓Gross Weight무게가 증가할수록 Lift-off speed 증가무게가 증가할수록 가속성능 감소무게가 증가할수록 Retarding Force 증가 (지면과의 마찰, Drag 증가)ConfigurationFlap 또는.. [Performance] Normal & Reverse Command Region Normal Command Region vs Reverse Command RegionNormal Command RegionReverse Command RegionMaximum Endurance 지점 이상의 속도 영역 (Power curve의 최저점 오른쪽)고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Pitch for Altitude / Power for AirspeedParasite Drag가 우세하여 Total Drag가 증가하므로 증속을 위해서는 많은 Power 보충 필요상승, 순항, 기동과 같은 대부분의 비행 단계가 이에 속함Maximum endurance 지점 이하의 저속 영역 (Power curve의 최저점 왼쪽)고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Power for Altitude / Pitch for Airspe.. [Performance] Aircraft Performance Aircraft Performance가. 정의 - 항공기가 여러가지 변화하는 조건에서 어떤 목적(이륙, 상승, 선회, 순항, 착륙)을 이루는 능력Performance에 영향을 주는 요인Performance에 영향을 받는 요인항공기 무게항공기 외장상태대기의 상태 (기압고도, 밀도고도)이/착륙 거리상승률최대 상승고도 (Ceiling)항속거리 (Range)순항고도연료효율StabilityManeuverabilityPayload나. 항공기 성능 비교를 위한 고려사항 -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며 직진 수평비행하거나 정속 상승/강하하는 비 가속비행을 전제로 함 - Thrust = Drag & Lift = Weight인 상태 다. 각 조건별 Performance 비교 ⓐ Straight & Level Flight - .. [항법] GPS / GNSS GPS / GNSS (Global Positioning System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가. 정의 ⓐ GPS / GNSS : (Global Positioning System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GPS (FAA) : 미국의 위성체계를 통하여 전 지구적 측위, 항법, 시간 측정을 하는 기능을 총칭. 전 세계 어디에서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우주기반의 무선항법시스템 - GNSS (ICAO) : 지상시설과 하나 이상의 위성체계를 통하여 전 지구적 측위, 항법, 시간 측정을 하는 기능을 총칭 ⓑ GNSS 나. 구성요소 ⓐ 24개의 위성 중 최소 5개의 위성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됨 ⓑ 수신기가 정확.. [항법] ETOPS ETOPS (Extended-range Twin-engine Operational Performance Standards)가. 정의 - 2개의 엔진이 장착된 항공기를 대상으로 한 운항 허가 인증제도 - 2개의 엔진을 가진 항공기가 운항 중 하나의 엔진이 고장 났을 때 비상착륙 대상 공항으로부터 1시간, 3시간 혹은 특정 시간에 해당하는 거리가 떨어져 있어도 운항을 할 수 있다는 인증 (바다/육지 무관) - 정리하자면 안전을 위해 항공기 성능에 맞게 안전한 비행 영역을 사전에 설정하는 것임 - 3개 이상의 엔진을 가진 항공기 및 정부 소유 또는 군용기는 ETOPS 규정이 적용되지 않음 나. 개념도 [항법] TCAS / ACAS TCAS (Traffic Alert & Collision Avoidance System) / ACAS가. 정의 - 항공기 공중충돌 방지를 위해 지상 ATC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항공기 주위를 Transponder를 통해 감시 - Transponder를 구비한 항공기 간 전파를 주고받으며 항공기 간에 떨어져있는 시간을 기준으로 잠재적인 위험을 판단하고 경고 및 조언 제시 - 2차 감시 Transponder 및 항적경고 인식을 위한 Display 장치 필요 나. 종류종류특징TCAS Ⅰ다른 항공기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와 고도정보 제공근접 시 경보를 제시하지만 (TA, Traffic alert) 회피방법(RA)을 제시하지는 않음TCAS ⅡTCAS Ⅰ의 모든 기능 지원양 쪽 항공기 모두에게 상반된 수직 방향의 대.. [항법] ELT ELT (Emergency Locator Transmitter) 가. 정의 및 특징 - 추락 또는 불시착한 항공기의 위치를 찾아내는 수단으로 개발된 장비로, 추락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자동 작동 - 광역의 온도범위에서 최소 48시간 작동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계됨 - 전자식 내장된 건전지로 작동되며 주파수 121.5MHz / 243.0MHz / 406.0MHz의 하향 가청 잡음을 발신 - 최신 개발된 406MHz ELT는 항공기의 소유주와 연락할 수 있는 정보와 항공기 자료가 내장된 디지털 송신기 (추락 후 더 신속히 항공기 위치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항공기 위치자료 입력, 종전 ELT보다 더 강한 신호 방출) 나. ELT의 설치 - 승객 좌석 수 19석을 초과하는 항공운송사업 비행기 2대 (2대 중 ..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