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2) 썸네일형 리스트형 [Aerodynamics] 4 Forces Acting on the Airplane 항공기에 작용하는 네 가지 힘가. 종류종류작용방향 및 특성추력(Thrust)항공기를 앞으로 전진시키는 힘Powerplant 및 Propelloer에 의해 생성Longitudinal axis에 평행하게 전방으로 작용양력(Lift)날개에 작용하는 공기역학적 현상에 의해 Weight에 반하여 항공기를 위로 뜨게 하는 힘Flight Path에 수직하도록 CL (Coeffiecent of Lift)에 기점으로 하여 작용항력(Drag)공기 중에서 항공기의 진행을 방해하는 힘항공기의 형상적 특성, 공기흐름의 교란 또는 유도항력으로 인해 발생Relative wind의 후방으로 작용중력(Gravity)항공기의 자체중량, 연료, 승무원/승객/Payload의 무게CG점을 기점으로 연직 하방으로 작용나. 상승/하강/Slow .. [IFR] Localizer Approach ⓐ Localizer Approach - 주변 지형으로 인해 G/S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G/S이 고장 났을 때 제공 가능한 접근 절차 - Horizontal guidance만을 제공하는 비정밀접근 절차 - Localizer는 활주로와 항상 3˚ 내에 정대되어 있으며 Final approach area에서 최소 250ft 장애물 회피 제공 ⓑ LOC/DME Approach - Localizer 외 DME 장비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Approach에 필요한 거리 정보 제공 ⓒ Localizer Back Course Approach - ILS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는 Localizer와 함께 Back course 또한 사용 가능 - Localizer와 마찬가지로 Back course에서는 G/S을 제공하지 않.. [IFR] Radar Approach Radar Approach가. 정의 및 특징 - ATC의 Radar 시설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접근 절차 - 조종사 요청에 의해 실시, ATC 또한 조난상황이나 Traffic 흐름 촉진을 위해 날씨와 상관없이 Radar approach 제공 가능 - Radar approach 종류에 관계없이 ATC는 항공기의 현재 위치를 Monitoring하고 접근절차 전체에 걸쳐 특정 HDG 및 고도를 지시함 - Radar approach의 가장 큰 이점은 Partial panel 상황에서의 'No-gyro approach'가 가능하다는 점 - 조종사는 Instruction 수행 후 모든 Turn을 Standard rate of turn으로 실시 (Final에서는 Half-standard) - ATC에 의해 수행되는 R.. [IFR] VOR Approach VOR Approach 가. 정의 및 특징 - VOR 장비를 이용한 비정밀접근으로, 비행장 내/외부에 있는 VOR 시설을 이용한 접근 절차 - DME 또는 TACAN 같은 장비와 결합하여 접근절차가 구성되어 있기도 함 - 만약 VOR approach 제목에 'DME'가 포함되어 있다면, FAF 이후부터의 접근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DME 장비가 탑재되어 있어야 함 - DME 사용으로 인해 Timing을 사용하지 않고도 정확한 위치 확인이 가능, Approach 수행에 Situational Awareness가 획기적으로 증가됨 - VOR 주파수 대역 : 108.0MHz ~ 117.95MHz나. 각 유형별 Criteria종류의미Straight-in approach(On-Airport VOR facili.. [IFR] ILS Approach ILS Approach가. 구성요소 - Guidance Information : Localizer, Glide Slope - Range Information : DME, Marker Beacon, Compass Locator - Visual Information : ALS, Runway Lights나. Category & Minimum종류DHVisibilityRVRCAT-Ⅰ(Pressure Altimeter)60m 이상800m 이상550m 이상CAT-Ⅱ(Radio Altimeter)30m 이상 60m 미만300m 이상 550m 미만CAT-Ⅲ a30m 미만175m 이상 300m 미만CAT-Ⅲ b15m 미만50m 이상 175m 미만CAT-Ⅲ cNo DHNo RVR* CAT-Ⅱ/Ⅲ의 경우, 항공기/조종사/운용.. [IFR] Vertical Path Control on Non-precision Approach Procedures Vertical Path Control on Non-precision Approach Procedures 가. CFIT (Controlled Flight into Terrain) - 항공기가 장비나 계기에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 조종사 부주의로 인해 지면이나 수면으로 충돌하는 상황 - 조종사의 Situational awareness 부재로 인해 발생 (Vertical 또는 Horizontal position awareness 부재) - Situational awareness : 현 상황에서 항공기 안전운항 또는 승무원 안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나 환경의 인식 나. 비정밀접근에서의 Vertical Path Control ⓐ 필요성 - 비정밀접근 시, 기존의 Stepdown descent를 사용하여 강하할 .. [IFR] Approach Ban Approach Ban가. 정의 - 보고된 시정 및 RVR이 Approach를 위해 규정된 Minimum 이하일 경우, 특정 지점/높이까지 지속 접근 금지 (Missed approach 절차 수행) - 계기접근을 시작하고 FAF or FAP 통과 후, 기상이 최저치 미만으로 보고될지라도 DA/MDA까지 접근 가능, 최저 착륙치 이상일 경우 착륙 가능* 운항기술기준 (8.1.11.43 계기비행기상상태에서의 착륙)가. 조종사는 비행시정이 해당 표준계기 접근절차에 규정된 시정치 미만일 경우 착륙을 시도하여서는 아니된다나. 조종사는 착륙하고자 하는 활주로의 시정 보고치 또는 활주로 가시범위(RVR)가 공항운영최저치 미만인 경우 최종접근구간 또는 비행장 표고(aerodrom elevation)로부터 300m(1,.. [IFR] Elevation & Height References Elevation & Height References 가. TCH / HAT / TDZE - TCH : Threshold Crossing Height. G/S or VDA를 유지하며 착륙접근을 계속했을 때 지나게 되는 Threshold 표고 기준 AGL 고도 - HAT : Height Above Touchdown. 활주로 착륙표면의 초반 3,000ft 중 가장 높은 지점의 표고를 기준으로 한 높이 - HAA : Height Above Airport. 비행장의 사용 가능한 활주로 표면 중 가장 높은 지점의 표고(ARP)를 기준으로 한 높이 나. Obstacle Clearance Altitude/Height (OCA/H) - Obstacle clearance criteria를 충족하는 고도/높이를 설정하는 .. 이전 1 ··· 18 19 20 21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