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74)
[Aerodynamics] Adverse Yaw Adverse Yaw가. 정의 및 발생원인 - Bank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Yawing이 발생하는 현상 - 조종사가 Bank를 줄 때 Bank 방향의 Aileron은 위로 올라가고, 반대 방향의 Aileron은 아래로 내려감(Differential Aileron) - 아래로 내려간 Aileron의 Camber가 증가하여 양력 & 항력 동시 증가 - 양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항력(유도항력)이 함께 증가하여 Bank의 반대 방향으로 Yawing 발생 - Adverse Yaw 상쇄를 위해 Rudder 사용 필요나. 각 상황별 Adverse Yaw 작용 특성 - Adverse Yaw는 저속에서 더욱 뚜렷하게 발생 (속도가 낮을수록 Control effectiveness 감소로 인해 많은 양의 Control 필요)..
[Aerodynamics] Load Factor 가. 정의 및 의미 - 항공기 중량에 대비하여 항공기 날개에 걸리는 하중의 비율 - Load Factor가 클수록 항공기 구조에 Damage를 줄 수 있음 - Load Factor가 증가하면 Stall Speed 증가나. Load Factor in Turns - 선회 시 Total Lift component가 Vertical / Horizontal Lift Component로 나뉘어 Load Factor 증가 - 60˚ Bank시 2G 증가, 즉 항공기 무게의 2배를 견디고 있다는 뜻 - 60˚ Bank시 Stall Speed 40% 증가  다. Load Factor와 Stall Speed의 관계 - Va 이하에서 높은 Load Factor가 발생되면 Accelerated stall에 빠져 Load Fa..
[Aerodynamics] Left Turning Tendency Left Turning Tendencyⓐ Torque Effect - 뉴턴 제3법칙 (작용-반작용 법칙)에 따름 →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에 대한 반작용 Torque가 반시계 방향으로 작용 - 공중에 떠 있을 때는 Longitudinal axis에 대해 왼쪽 방향으로의 Roll 발생 - 지상에서는 Rolling 효과에 의해 왼쪽 Main gear에 더 많은 마찰이 발생하여 항공기가 왼쪽으로 진행 - 이러한 Turning moment는 다음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1. 엔진 마력 2. 프로펠러의 크기 및 RPM 3. 항공기 크기 4. 노면 상태ⓑ P-Factor - 높은 AOA로 비행할 때(Climb 등), 좌우 프로펠러의 AOA에 차이에 의해 Descending blade가 Ascending b..
[Aerodynamics] Stalls 실속ⓐ 정의 - 항공기의 AOA가 Critical AOA를 초과하여 날개 위를 흐르는 Airflow에 Separation이 발생, 양력의 급격한 손실이 발생하는 현상 - Stall은 양력이 '0'이 되는게 아니라, Level flight을 유지할 만큼 충분한 양력을 생성해내지 못하는 것을 의미 - 항공기의 속도가 줄어들면 양력을 보존하기 위해 AOA를 높여줌으로써 (Cι ↑) Level flight 유지 - AOA가 Critical AOA에 도달하면 Cι이 급감하여 Level flight을 위한 양력 생성 불가. 이 속도를 Stall Speed라고 함 ⓑ 특징 - Stall은 어느 자세, 어느 속도, 어느 Power setting에서나 일어날 수 있음  - Critical AOA는 다음의 변화에서 항상 ..
[Aerodynamics] Dutch Roll & Spiral Instability Dutch Roll & Spiral Instability가. Dutch Roll - Lateral / Directional Oscillation이 동반된 상태 - 가로안정성 > 방향안정성 일 때 발생 (예를 들어, 상반각이 크고 수직안정판이 작은 경우) - 가로안정성과 방향안정성이 엇박자로 복합 발생하여 항공기가 마치 시계추 혹은 낙엽과 같이 주기 진동운동 - Rolling보다 Yawing이 한 박자 늦게 발생하여 계속 Overshoot 됨 - 수직안정판을 크게 하여 방지하거나, Yaw Damper 설치 나. Spiral Instability - 방향안정성 > 가로안정성 일때 발생 (약한 상반각 효과 등) - Spiral instability가 Dutch roll보다는 견디기 쉬움 (어느 정도의 Spir..
[Aerodynamics] Stability Stability (안정성)가. 정의 - 항공기가 평형상태에서 외부의 교란을 받아 평형이 깨졌을 때, 다시 본래의 비행자세/경로를 유지하려고 하는 항공기 고유의 특성 나. 종류  ⓐ Static Stability (정안정성) : 항공기가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할 때의 초기 방향성 - Positive Static Stability : 항공기가 외란에 의해 평형이 깨졌을 때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려는 초기 경향성 - Neutral Static Stability : 항공기가 외란의 의해 평형이 깨졌을 때 새로운 상태에 머물고자 하는 초기 경향성 - Negative Static Stability : 항공기가 외란의 의해 평형이 깨졌을 때 교란된 방향으로 계속 운동하려는 초기 경향성 ⓑ Dynamic Stabil..
[Aerodynamics] Ground Effect Ground Effect (지면효과)가. 원인 - 비행 중인 항공기가 지면이나 수면에 가깝게 접근할 때 발생 - 지면이나 수면 근처 날개 주변의 Wingtip Vortices가 지면에 의해 발달의 방해를 받아 그 크기가 작아짐 - 이로 인해 Induced drag가 감소되어 그만큼 추력 및 양력이 증가하는 효과 발생 - Low wing 항공기에서 더 크게 발생   - Low wing 항공기에서 더 크게 발생 나. 특징 - 같은 속도를 만들기 위한 추력 요구량이 다름 - 같은 양력계수(Cι)을 만들기 위한 AOA가 다름 - 통상적으로 날개폭의 1배 높이에서 Induced drag는 Ground effect에 의해 1.4%밖에 감소하지 않지만 날개 폭의 1/4 높이에 있는 경우 약 25% 감소하고, 1/1..
[Aerodynamics] Wingtip Vortices & Wake Turbulence Wingtip Vortices & Wake Turbulence가. Wingtip Vortices  ⓐ 생성원리 - 압력은 항상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는 성질에 따라 날개 끝의 아랫면 -> 윗면으로 압력 이동 - 날개에서는 끝 지점이 가장 이동저항이 작은 지점이므로 날개 끝을 따라 압력차이에 의해 공기가 말려 올라감 -> Downwash와 결합하여 빠르게 회전하는 Wingtip Vortices 생성 - 날개 윗면에서는 공기흐름이 안쪽(동체방향)으로 약간 휘어지는데, 이로 인해 날개 안쪽의 Trailing Edge 부근에서 Wingtip vortex와 유사한 와류 발생 - 날개 끝에서 Lateral 방향의 공기흐름 제한이 없으므로 공기흐름의 휘어짐이 가장 큼 나. Wake Turbulences ⓐ..

반응형